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월가 은행들 “요즘 뉴욕증시 재미 없어”...이 지역 ETF에 돈 쏟아부었다

최현재 기자
입력 : 
2025-05-19 10:27:54
수정 : 
2025-05-19 10:40:5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금융시장이 불안해지고 달러 약세가 지속되면서 월가에서 신흥시장이 새로운 대체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

MSCI 신흥시장 지수는 최근 연초 대비 8.9% 상승했고, 이는 미국의 관세 전쟁과 함께 투자자들이 투자처를 다양화하려는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

또한, AQR 캐피털 매니지먼트는 향후 5~10년 동안 신흥시장에서 평균 6%의 수익률을 예상하고 있어, 신흥시장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트럼프 ‘관세전쟁’ 여파로
약달러에 美자산시장 불안
대체 투자처로 신흥시장 선택
챗GPT 생성 이미지.
챗GPT 생성 이미지.

미국 금융시장이 불안해지고 달러 약세까지 겹치자 월가에서 대체투자처로 신흥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MSCI 신흥시장 지수는 지난 16일 기준 연초 대비 8.9% 상승한 1172.38을 기록했다. 반면 뉴욕증시의 S&P500지수는 같은 기간 1.5% 상승하는데 그쳤다.

신흥시장 주가의 강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으킨 ‘관세전쟁’ 여파다. 오락가락 관세 정책으로 뉴욕증시가 널뛰기 장세를 보이자 투자자들이 대체 투자처를 찾기 시작한 것이다. 여기에 달러 약세와 미국 채권시장 불안까지 겹치면서 투자은행들의 ‘신흥시장’ 러시는 가속화될 모양새다.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도 이를 부채질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블룸버그에 따르면 신흥시장에 투자하는 미국 상장 ETF로 유입된 자금 규모는 이달 5일~9일 사이 18억 4000만 달러(약 2조5000억원)에 달했다. 이는 직전주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앞으로 달러 약세 흐름이 계속된다면 수익률 측면에서 뉴욕증시 투자보다 낫다는 의견도 나온다. AQR 캐피털 매니지먼트는 향후 5~10년간 신흥시장에서 현지 통화 기준으로 연평균 약 6%의 수익률을 점치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