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적 AI 생태계도 갖춰
"고통감내, 美보다 유리"
"고통감내, 美보다 유리"
영국 BBC방송은 23일(현지시간) '대미 무역전쟁에서 중국이 쥔 다섯 가지 카드'라는 기사에서 중국이 잡고 있는 첫 번째 카드로 '고통 감내 여력'을 꼽았다.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서 다른 국가보다 버틸 체력이 있는 데다 10억명이 넘는 인구에 기반을 둔 거대한 내수시장이 일정 수준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가 잇따르자 미국산 수입품 대신 '가성비'가 우수한 자국 상품을 구매하자는 '궈차오(애국 소비)' 바람까지 불기 시작했다.
두 번째로는 '첨단기술 역량'을 언급했다. 올해 초 세상을 뒤흔든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인 '딥시크'를 비롯해 첨단산업 분야에서 중국의 성과가 연달아 나오고 있으며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는 BYD가 테슬라를 앞질렀다.
선제적인 '탈미국'이 세 번째 카드다.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관세를 물린 뒤 중국은 무역에서 미국 의존도를 낮추는 데 중점을 둬왔다. 예컨대 과거 중국이 수입하는 대두의 40%가 미국산이었다. 하지만 트럼프 1기 행정부를 거치며 그 비중이 20%까지 줄었다.
네 번째는 중국이 미국 국채를 7000억달러(약 1000조원)어치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국채 매각 시 중국도 자산가치 손실을 볼 수 있어 만능은 아니라고 짚었다.
또 사실상 중국이 장악하고 있는 희토류를 마지막 카드로 꼽았다. 희토류는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쓰이는 필수 원재료로, 이는 중국의 실질적인 무기라고 BBC는 설명했다.
중국 관영 언론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사설에서 "중·미 간 '빅딜'이 필요하다면 그것은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대화와 책임감 있는 태도를 기반으로 한 공조 강화"라고 밝혔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