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習의 여유 뒤엔 '애국소비·美국채 보유'

송광섭 기자
입력 : 
2025-04-24 20:21:5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인하를 시사하면서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이 유리한 입장을 차지할 수 있는 다섯 가지 카드를 보유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의 첫 번째 카드는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서의 내수시장과 고통 감내 여력이며, 두 번째로는 첨단기술 역량이 강조되었다.

이 외에도 중국은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 국채 보유와 희토류 자원을 활용한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BBC는 보도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자생적 AI 생태계도 갖춰
"고통감내, 美보다 유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인하를 시사하면서 미·중 간 무역협상의 물꼬가 트인 가운데 미국을 상대로 중국이 판세를 유리하게 끌고 갈 다섯 개 카드를 쥐고 있다는 조명이 나와 눈길을 끈다.

영국 BBC방송은 23일(현지시간) '대미 무역전쟁에서 중국이 쥔 다섯 가지 카드'라는 기사에서 중국이 잡고 있는 첫 번째 카드로 '고통 감내 여력'을 꼽았다.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서 다른 국가보다 버틸 체력이 있는 데다 10억명이 넘는 인구에 기반을 둔 거대한 내수시장이 일정 수준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가 잇따르자 미국산 수입품 대신 '가성비'가 우수한 자국 상품을 구매하자는 '궈차오(애국 소비)' 바람까지 불기 시작했다.

두 번째로는 '첨단기술 역량'을 언급했다. 올해 초 세상을 뒤흔든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인 '딥시크'를 비롯해 첨단산업 분야에서 중국의 성과가 연달아 나오고 있으며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는 BYD가 테슬라를 앞질렀다.

선제적인 '탈미국'이 세 번째 카드다.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관세를 물린 뒤 중국은 무역에서 미국 의존도를 낮추는 데 중점을 둬왔다. 예컨대 과거 중국이 수입하는 대두의 40%가 미국산이었다. 하지만 트럼프 1기 행정부를 거치며 그 비중이 20%까지 줄었다.

네 번째는 중국이 미국 국채를 7000억달러(약 1000조원)어치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국채 매각 시 중국도 자산가치 손실을 볼 수 있어 만능은 아니라고 짚었다.

또 사실상 중국이 장악하고 있는 희토류를 마지막 카드로 꼽았다. 희토류는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쓰이는 필수 원재료로, 이는 중국의 실질적인 무기라고 BBC는 설명했다.

중국 관영 언론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사설에서 "중·미 간 '빅딜'이 필요하다면 그것은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대화와 책임감 있는 태도를 기반으로 한 공조 강화"라고 밝혔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