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동맹국 관계악화 막고 中만 정조준 … 트럼프 "習 전화 기다린다"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1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며 미중 간의 관세전쟁이 심화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중국과의 추가적인 관세 문제에 대해 우려하지 않는다고 선언하며 협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시진핑 주석이 협상을 원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관세 부과에 대한 중국의 반격 여부가 주목받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미국의 영화 수입 축소를 결정한 상태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美, 중국만 125% 관세 부과
보복의 악순환에 빠진 G2
트럼프 "확전은 생각 안해"
中, 84% '맞불 관세' 발효
美영화 수입 축소도 나서
전문가 "변덕스러운 정책
美정부 신뢰 떨어뜨릴 것"
EU는 對美 보복관세 보류
◆ 한미관세협상 ◆
사진설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중국에 관세 125%를 부과한다고 밝히며 또 한번 '충돌'을 향한 가속페달을 밟았다. 세계 경제를 이끄는 'G2' 미·중 간의 관세전쟁이 끝을 알 수 없는 보복의 악순환에 빠진 셈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전쟁'의 추가적인 확전을 원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중국에 발신했다. 표면적으로는 미·중 간 '자존심 싸움'이 격해지고 있지만, 유화적 제스처가 함께 제시된 것이다. 이에 '후공'을 맡은 중국의 선택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오벌오피스(집무실)에서 진행한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중국과의 무역전쟁 확전을 염려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걱정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매우 똑똑한 사람이고, 우리는 결국 양국 모두에 매우 좋은 협상을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관세율 125%는 사실상 중국산 제품에 대한 '금수 조치'에 해당하는 극단의 대책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더 이상의 확전을 원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시 주석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며 "나는 그를 잘 알고 있고 그가 협상을 원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화가 오면 바로 시작될 것이다. 그들에게나, 우리에게나 좋은 일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에 추가로 관세를 부과할 것인지를 묻는 말에 "나는 그것을 상상할 수 없다"며 "우리가 더 해야 한다고 생각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시 주석과 만나거나 대화할 것인지를 묻는 말에는 "물론 나는 그와 만날 것"이라면서 "그는 내 친구이고 나는 그를 좋아하며 존경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미국 싱크탱크인 민주주의수호재단의 크레이그 싱글턴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유예 조치가 맹목적인 강대강 전략을 취하고 있는 중국을 상대로 협상을 유도하기 위한 '우회로'라고 조심스럽게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도 강대강으로 대치하는 중국이 빨리 협상 모드로 전환해야 정치적 부담이 낮아지는 만큼 추가 관세 상향을 배제하는 언급을 하며 시 주석의 권위를 인정하는 협상의 우회로를 제시했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관련 사설에서 대중 관세전쟁으로 격화하는 현 흐름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동맹국과 적대적 관계를 완화하려는 의도가 반영됐다고 진단했다. 애덤 포즌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장은 "관세전쟁은 미국 정부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변덕스러운 정책 결정이 반복될 때마다 대미 투자가 줄어들고 부채에 대한 이자율 상승이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주목되는 것은 중국의 재반격 여부다. 중국의 84% 대미 '맞불 관세'는 10일 발효돼 시행에 들어간 상황에서 추가 보복 조치가 나온다면 관세전쟁이 더욱 격해질 것으로 보인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0일 "중국은 중국 국민의 정당한 권익이 침해되고 박탈되는 것을 좌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은 할리우드 영화 수입 축소에 나섰다. 이날 중국의 영화 심의와 수입 허가권을 행사하는 국가전영국(영화국) 대변인은 "미국 영화의 수입 수량을 적절히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유럽연합(EU)은 다음주 시행하려 했던 미국의 철강 관세에 대한 보복관세 조치를 90일간 보류하기로 했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서울 이재철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