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중국만 125% 관세 부과
보복의 악순환에 빠진 G2
트럼프 "확전은 생각 안해"
中, 84% '맞불 관세' 발효
美영화 수입 축소도 나서
전문가 "변덕스러운 정책
美정부 신뢰 떨어뜨릴 것"
EU는 對美 보복관세 보류
보복의 악순환에 빠진 G2
트럼프 "확전은 생각 안해"
中, 84% '맞불 관세' 발효
美영화 수입 축소도 나서
전문가 "변덕스러운 정책
美정부 신뢰 떨어뜨릴 것"
EU는 對美 보복관세 보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오벌오피스(집무실)에서 진행한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중국과의 무역전쟁 확전을 염려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걱정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매우 똑똑한 사람이고, 우리는 결국 양국 모두에 매우 좋은 협상을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관세율 125%는 사실상 중국산 제품에 대한 '금수 조치'에 해당하는 극단의 대책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더 이상의 확전을 원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시 주석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며 "나는 그를 잘 알고 있고 그가 협상을 원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화가 오면 바로 시작될 것이다. 그들에게나, 우리에게나 좋은 일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에 추가로 관세를 부과할 것인지를 묻는 말에 "나는 그것을 상상할 수 없다"며 "우리가 더 해야 한다고 생각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시 주석과 만나거나 대화할 것인지를 묻는 말에는 "물론 나는 그와 만날 것"이라면서 "그는 내 친구이고 나는 그를 좋아하며 존경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미국 싱크탱크인 민주주의수호재단의 크레이그 싱글턴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유예 조치가 맹목적인 강대강 전략을 취하고 있는 중국을 상대로 협상을 유도하기 위한 '우회로'라고 조심스럽게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도 강대강으로 대치하는 중국이 빨리 협상 모드로 전환해야 정치적 부담이 낮아지는 만큼 추가 관세 상향을 배제하는 언급을 하며 시 주석의 권위를 인정하는 협상의 우회로를 제시했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관련 사설에서 대중 관세전쟁으로 격화하는 현 흐름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동맹국과 적대적 관계를 완화하려는 의도가 반영됐다고 진단했다. 애덤 포즌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장은 "관세전쟁은 미국 정부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변덕스러운 정책 결정이 반복될 때마다 대미 투자가 줄어들고 부채에 대한 이자율 상승이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주목되는 것은 중국의 재반격 여부다. 중국의 84% 대미 '맞불 관세'는 10일 발효돼 시행에 들어간 상황에서 추가 보복 조치가 나온다면 관세전쟁이 더욱 격해질 것으로 보인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0일 "중국은 중국 국민의 정당한 권익이 침해되고 박탈되는 것을 좌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은 할리우드 영화 수입 축소에 나섰다. 이날 중국의 영화 심의와 수입 허가권을 행사하는 국가전영국(영화국) 대변인은 "미국 영화의 수입 수량을 적절히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유럽연합(EU)은 다음주 시행하려 했던 미국의 철강 관세에 대한 보복관세 조치를 90일간 보류하기로 했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서울 이재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