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중국산은 안 받겠습니다”...수입 물량 줄인 아마존, 왜?

최현재 기자
입력 : 
2025-04-10 10:37:28
수정 : 
2025-04-10 10:42:0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중국과 아시아 국가에서 제조된 일부 상품의 주문을 취소하며 수입 물량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 고율 관세 부과 발표에 대한 대응으로, 아마존은 주문 취소에 대해 거래처에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는 이번 조치가 아마존이 공급업체에 관세 부담을 전가하려는 의도로 해석하고 있으며, 공급업체들이 재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美 대중관세 여파로 부담 쑥
사입 물량에 관세 비용 우려
챗GPT 생성이미지.
챗GPT 생성이미지.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중국과 베트남, 태국 등에서 제조된 상품 수입 물량 일부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중 고율 관세 부과에 나서자 이로 인한 부담을 축소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복수의 소식통과 입수한 문서를 인용해 “아마존이 중국과 아시아 국가에서 제조된 일부 제품에 대한 주문을 취소했다”고 보도했다.

아마존은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전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직후 주문 취소에 나섰다. 해변용 의자, 스쿠터, 에어컨 등 다양한 품목이 취소 대상에 포함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마존은 주문을 취소하면서 거래처에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았다.

10년 넘게 아마존에 중국산 해병용 의자를 납품해온 한 업체의 관계자는 블룸버그에 “이런 일방적인 주문 취소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아마존이 수입 물량 축소에 나선 배경은 관세 비용 절감으로 추정된다. 아마존은 판매 상품의 40%를 직접 사입한다. 외국 현지에서 제품을 도매로 사들인 뒤 미국에 있는 물류창고로 직접 운송하는 방식을 택한다. 아마존이 직접 미국으로 배송하기 때문에 관세가 오르면 비용 부담이 커진다. 이번 아마존의 주문 취소는 결국 아마존이 공급업체에 관세 부담을 떠넘기려는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스콧 밀러 전자상거래 컨설턴트는 “공급업체들이 아마존과 (거래) 조건을 재협상해야 할 수도 있다. 아마존은 모든 카드를 쥐었다”며 “공급업체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상품을 마진이 낮은 타국에 판매하거나, 다른 유통업체를 찾아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