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미국산 위스키 보복관세는 실수”…프랑스 총리, 급하게 인정한 이유는?

문가영 기자
입력 : 
2025-03-17 19:35:1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랑수아 바이루 프랑스 총리는 유럽연합(EU)이 미국산 위스키에 대한 보복관세를 부과한 것은 실수라고 언급하며, 이러한 조치가 프랑스의 코냑 산업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EU가 오는 4월 1일부터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관세를 시행할 예정인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반발하며 200%의 관세 부과를 위협하고 있다.

바이루 총리는 코냑 업계 관계자들과 만나 의견을 청취했으며, 중국과의 코냑 관세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곧 방중할 계획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中 이어 美까지 관세 부과시
佛 코냑 산업 더 큰 피해 우려
프랑수아 바이루 프랑스 총리 [AFP = 연합뉴스]
프랑수아 바이루 프랑스 총리 [AFP = 연합뉴스]

프랑수아 바이루 프랑스 총리가 유럽연합(EU)이 미국산 위스키를 보복관세 대상으로 삼은 것은 실수라고 주장했다. 중국에 이어 미국이 프랑스산 브랜디 코냑을 겨냥해 관세를 부과할 경우 자국 주류 산업이 직격탄을 맞는다는 우려에서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바이루 총리는 이날 프랑스 공영 라디오 인터뷰에서 “실수가 있었는가? 아마도 그렇다”며 “켄터키 버번이 무역에 위협이라도 된다는 듯 (보복관세 목록에) 포함됐다”고 지적했다.

EU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응해 지난 12일 버번 위스키를 포함한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관세를 예고했다. 해당 관세 조치는 오는 4월 1일 발효될 예정이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EU가 미국산 버번 위스키에 대한 관세 계획을 철회하지 않으면 EU산 와인 및 기타 주류에 관세 200%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주류 수출 품목인 코냑은 이미 EU·중국 간 무역갈등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 중국은 작년 10월 EU의 중국산 전기차 고율관세 부과에 대한 보복으로 EU산 브랜디에 대한 임시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바이루 총리는 트럼프 행정부가 EU산 기타 주류에 실제 관세 200%를 부과할 가능성을 염려하며 “프랑스 코냑 산업에 더 큰 타격을 주는 추가 관세를 피하기 위해 협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지난 15일 코냑업계 관계자들과 만나 무역갈등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바이루 총리는 중국과 코냑 관세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조만간 방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