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韓美, 대북정책 추진前 반드시 사전협의"

안정훈 기자
최승진 기자
입력 : 
2025-03-07 18:01:54
수정 : 
2025-03-07 20:08:2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6일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나 미측의 대북 정책 추진 전에 한국과 사전 협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두 국가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하고, 조선 산업 협력과 관련하여 NSC 차원에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또한, 신 실장은 한국 조선업체의 미국 내 수주 협력과 관련된 법안 처리를 요청하며 양국 간의 공조를 강조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트럼프2기 첫 안보실장 대면
NSC서 조선산업 협력 조율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과 회담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과 회담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신원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6일(현지시간)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첫 대면 회동을 하고 '미국이 대북 정책을 추진하기 전 반드시 한국과 사전 협의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신 실장은 앞서 방미를 추진해 왔지만 사전에 일정을 공개하지 않고 회담 이후 결과를 깜짝 공개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심사인 조선산업 협력에 대해서는 양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차원에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신 실장은 이날 회동 후 워싱턴DC 주미 대사관에서 열린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양측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했다"며 "대북 정책 수립과 이행에서 반드시 사전에 긴밀히 공조해 나가자고 했다"고 말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채 러시아와 평화협정을 진행하며 한국에서도 '코리아 패싱' 우려가 커지자 이를 불식하려는 행보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해 왈츠 보좌관은 미국이 한국에 제공하는 확장억제(핵우산)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고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능력이 고도화하고 이게 한반도·동북아시아·세계 평화에 위협이 된다는 데 기본적인 인식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이어 신 실장은 "양측은 포괄적 협력을 요하는 조선 분야의 특성을 고려해 양국 NSC 차원에서 범정부 노력을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신 실장은 왈츠 보좌관에게 한국 조선업체의 미국 함정 보수·수리·정비(MRO) 수주를 위한 협력과 한미 국방상호조달협정의 신속한 체결을 당부했다. 특히 조선 협력에 필요한 법안 처리를 당부했다고 고위 관계자는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 해군 재건 등을 위해 조선업 부흥 전략을 주요 정책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신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한국을 지목해 "한국의 평균 관세율이 미국보다 4배 높다"고 주장한 데 대해서도 한국 측 의견을 왈츠 보좌관에게 전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 참여를 요구한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의견을 교환하지는 않았지만, 관련 부처에서 논의할 수 있도록 양측이 관심을 갖기로 했다.

[안정훈 기자 /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