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中 탄도미사일 둥펑-17 日전역 타격위치에 배치"

이승훈 기자
입력 : 
2025-03-03 17:40:56
수정 : 
2025-03-03 19:33:0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본 공익연구소의 분석 결과, 중국의 미사일 거점이 일본을 사정권에 두는 방향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보도됐다.

특히 중국의 둥펑(DF)-17과 창젠(CJ)-100 미사일 등이 일본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었으며, 이러한 미사일은 일본 방위 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은 방어 능력과 더불어 억제를 위한 반격 능력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됐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일본 공익연구소가 최근 중국 미사일 부대를 위성 영상으로 분석한 결과 일본을 사정권에 두는 미사일 거점이 최근 몇 년 새 늘고 있다고 주장했다.

3일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공익재단법인 '국가기본문제연구소'의 나카가와 마키 연구원의 발표를 인용해 "중국 로켓군이 핵 위협, 핵 반격, 중장거리 정밀 타격, 전략적 균형 유지 측면에서 미국 등 대상 지역에 전략적 위협을 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나카가와 연구원은 위성 사진 등을 분석해 중국 지린성 제655여단이 2020년 10월 이후 새로운 주둔지를 건설했고, 탐지가 어려운 극초음속 활공체의 탑재가 가능한 탄도미사일 '둥펑(DF)-17'을 일본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했다고 주장했다. 둥펑-17의 최장 사정거리는 2500㎞로 알려져 있다.

나카가와 연구원은 이어 지난해 1월 사진을 보면 이 부대가 이동식 발사대 38대를 주차할 수 있는 차고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또 푸젠성 제614여단도 이전에는 단거리 미사일을 운용했으나 지금은 둥펑-17을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나카가와 연구원은 산둥성 제656여단에서는 2019년 무렵부터 초음속 순항미사일 '창젠(CJ)-100'을 갖춘 이동식 발사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창젠-100은 사정거리가 2000㎞로 추정된다.

그러면서 작년 5월 사진에서 지반을 고르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시설 증축이 진행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나카가와 연구원은 중국 미사일 체계를 전반적으로 분석한 뒤 "일본의 방위 시스템을 돌파할 능력이 있는 미사일이 질적·양적으로 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이 모든 미사일을 사용해 공격한다면 일본이 완전히 막아내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면서 "일본이 방위 능력뿐만 아니라 억지를 위한 반격 능력(적 기지 공격 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여러 사태를 가정해 중국 관련 동향을 감시하고 준비를 게을리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도쿄 이승훈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