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베트남도 반덤핑 관세 中 철강에 최고 28%

문가영 기자
입력 : 
2025-02-21 23:20:0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베트남이 저가 중국산 열연코일 철강 제품에 대해 19.38%에서 27.83%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한국에 이어 이루어진 조치로, 지난 7월부터 진행된 반덤핑 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한국 또한 중국산 후판에 대해 27.91%에서 38.02%의 잠정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으며, 보호무역 조치가 강화되는 상황이 우려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중국산 철강의 저가 물량 공세에 대응해 한국에 이어 베트남도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베트남 산업통상부는 중국산 열연코일 철강 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관세율은 19.38~27.83%이며, 다음달 7일부터 120일간 발효된다. 중국 최대 철강업체인 바오산강철과 마안산강철에 27.83%에 달하는 최대 관세가 적용된다. 그 외 광시류저우강철그룹은 19.38%의 관세를 적용받게 된다.

앞서 베트남 정부는 지난해 7월 자국 업계의 문제 제기에 따라 중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전날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중국산 후판에 대해 27.91~38.02%의 반덤핑 잠정 관세를 부과하는 안을 의결했다. 잠정 관세는 기획재정부의 검토를 거쳐 한 달 내로 확정해 즉각 발효된다. 무역위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예비 조사 결과, 덤핑으로 인한 국내 산업의 실질적 피해를 추정할 만한 근거가 충분하다고 예비 판정했다.

부동산 경기 하락과 내수 침체에 시달리는 중국이 몇 년간 남아도는 철강 물량을 한국 등으로 밀어내면서 최근 중국산 수입량이 크게 증가한 바 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산 후판 수입 물량은 117만t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 대비 3배 이상 급증한 수준이다.

이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철강에 관세를 부과하는 등 보호무역 흐름이 강해지자, 한국에 이어 베트남 정부도 자국 산업을 더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지난 10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예외나 면제 없이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한편 중국이 중국산 후판에 대한 한국의 반덤핑 잠정 관세에 대응해 보복 조치를 내놓을지도 주목된다.

[문가영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