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트럼프 변수에 ‘뉴 골드러시’…안전자산 金 놓고 진풍경

김덕식 기자
입력 : 
2025-02-20 16:02:3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후의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미국 대형 은행들이 유럽의 금괴를 뉴욕으로 옮기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이들은 런던 마트에서 저렴한 금을 매입해 뉴욕에서 시세 차익을 노리고 있으며, 영란은행의 금 보유량에 대한 우려 속에서도 여전히 충분한 보유량이 있다고 총재가 강조했다.

한편, 일론 머스크가 포트 녹스의 금 보유량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금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금괴 진짜 있나” 의구심 폭증
머스크 ‘금 음모론’에 뛰어들어
세계적인 금광 업체인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로고 앞에 작은 장난감 피규어와 금 모조품이 놓여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세계적인 금광 업체인 앵글로골드 아샨티의 로고 앞에 작은 장난감 피규어와 금 모조품이 놓여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최후의 안전자산 ‘금(金)’을 두고 각종 논란이 일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일 관세 협박과 지정학적 쇼크 발언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 금의 수요가 폭증하면서다.

월스트리트저널과 스카이뉴스 등 영국과 미국의 언론 보도에 따르면 최근 뉴욕 월가 대형 은행들이 유럽에 있던 금괴를 미국으로 옮기는 데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과 런던에 본사를 둔 HSBC가 이런 움직임을 주도하고 있고, 헤지펀드들도 이 움직임에 가세했다.

미국 주요 은행의 금 거래자들은 런던 금 상가나 스위스 제련소를 찾아가 금괴를 매입한 후 이를 안전한 항공편을 통해 뉴욕으로 옮겨서 판매하고 있다. 런던 금 가격이 뉴욕 시세보다 낮아 시세 차익을 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실물 금괴에 대한 수요가 몰리면서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 지하 금고에서 금괴를 인출하기 위해 몇 주나 기다려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영국 스카이뉴스는 이러한 현상을 19세기 금이 발견된 지역으로 노동자들이 대거 이주했던 ‘골드러시(gold rush)’에 빗대서 표현했다.

일각에서는 영란은행의 금 보유고가 바닥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앤드루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는 최근 스카이뉴스에 “금 보유량이 부족하지는 않다”면서도 최근 몇 달간 간 수십억 파운드 물량의 금괴가 대서양을 건너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런던은 주요 금 시장으로, 최근 런던과 뉴욕에서 금 가격의 상대적 변동이 있었다”며 “금이 일부 뉴욕으로 건너갔지만, 엄청난 양은 아니다. 우리 금 보유량의 2% 미만”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전히 금고에 충분한 금이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신임을 받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금 음모론에 합세했다. 머스크는 지난 17일 엑스(X·옛 트위터)에 “포트 녹스에서 금을 찾고 있다”면서 “포트 녹스에서 금이 도난당하지 않았는지 누가 확인하느냐. 금이 거기에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그 금은 미국 대중의 것이다. 우리는 금이 거기에 아직 있는지 알고 싶다”고 적었다.

포트 녹스는 켄터키주에 있는 미 육군 기지의 이름으로, 이 기지 바로 옆에 재무부가 운영하는 금 보유고도 같은 이름으로 불린다. 미국 화폐주조국에 따르면 포트 녹스에는 1억4730만온스의 금이 저장돼 있는데 이는 재무부가 관리하는 금 보유량의 절반에 이르는 물량이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올해 연말 금값 전망치를 당초 온스당 3000달러에서 최근 31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현물 금은 지난주 온스당 2942달러를 돌파해 현재도 비슷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