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긍정평가 53% 달해
中관세 절반 넘게 찬성하지만
동맹국에 부과는 60% 반대
中관세 절반 넘게 찬성하지만
동맹국에 부과는 60% 반대

CBS뉴스와 여론조사업체 유고브가 미국의 성인 남녀 2175명을 대상으로 지난 5~7일(현지시간) 여론조사를 실시해 9일 발표한(오차범위 ±2.5%포인트)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53%, 부정 평가는 47%로 나타났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1기 임기 초반이던 2017년 1월 여론조사에서 보인 지지율(44%)보다 높은 수치다.
미국인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민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불법 이민자 추방 정책에는 59%가 지지하고 41%가 반대했다. 미국·멕시코 국경 강화를 위한 군 배치에는 64%가 찬성했다.
반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물가 대응에는 우려를 나타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물가 안정화에 집중하고 있다는 응답은 34%에 그쳤다. 대응이 부족하다는 답변은 66%로 2배 가까이 우세했다. 물가 대응이 충분하지 않다는 미국인들의 평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초부터 밀어붙이고 있는 관세정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응답자 가운데 73%는 관세를 새로 부과하면 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식료품 비용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본 응답자도 51%에 달했다.
부과 대상국별 찬반도 미국인 사이에서 극명히 엇갈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물리거나 부과할 계획인 국가 중 찬성 비율이 높았던 곳은 중국(56%)이 유일했다.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에는 응답자의 62%가 반대했다. 유럽(60%)과 멕시코(56%)도 반대 비율이 높았다
CBS뉴스는 "관세 부과 정책이 물가 우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중국 외 국가에 대한 관세정책은 인기가 없었으며 대중은 새로운 관세 부과가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대응에 대해서는 54%가 긍정적이라고 답변했다.
[최현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