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日도 딥시크 이용금지

김덕식 기자
입력 : 
2025-02-02 19:39:50
수정 : 
2025-02-02 22:56:3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에 대해 여러 국가에서 경계가 커지고 있으며, 일본 정부는 공무원들에게 사용 자제를 요청했다.

대만은 국가 안보를 이유로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 사용 금지 조치를 내렸으며, 이탈리아와 미국도 각각 딥시크 사용 금지령을 시행했다.

유럽연합과 다른 나라들도 딥시크에 대한 규제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伊·대만 등 금지령 잇따라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에 대한 각국 경계가 높아지고 있다. 대만에 이어 일본 정부도 공무원에게 딥시크 이용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2일 NHK에 따르면 다이라 마사아키 디지털상이 전날 오키나와현 나고시에서 열린 강연에서 딥시크 AI와 관련해 "개인정보가 제대로 보호되는지가 문제"라며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지킨다는 관점에서 필요하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데이터 보호라는 시각에서 우려가 불식되기 전까지는 공무원이 (딥시크) 사용을 삼가거나 이를 활용하려면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실상 딥시크 이용 금지령을 내린 셈이다.

대만 정부는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이용할 때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는 이유를 들어 사용금지 조처를 내렸다. 대만 디지털부는 1일 성명에서 "딥시크 AI는 중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이자 서비스로 국경 간 (데이터) 전송, 정보 유출 문제 등을 수반하며 국가의 정보보안을 위태롭게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이탈리아는 지난달 29일부터 세계 최초로 자국 내에서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앱) 사용을 금지했다. 미국 하원과 국방부도 지난달 보안 취약점을 우려해 소속 직원들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이 밖에 유럽연합(EU)과 영국, 독일, 싱가포르 당국이 딥시크에 대한 규제 조치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딥시크가 중국에 관한 미국 주요 정치인의 발언이나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에 대한 당국의 인권 탄압 등 민감한 의제에 중국 공산당의 관점이 반영된 답을 제시한다고 전했다.

[김덕식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