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관세 60% 외치더니 10% … 中압박 속도조절

송광섭 기자
입력 : 
2025-01-22 17:54:5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 압박에 대해 속도 조절을 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그는 중국산 제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으나, 최근엔 10% 관세 방침을 고려한다고 밝혔고,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 유예하며 미국 기업과의 합작 투자 가능성을 제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협상에서 틱톡 지분 매각을 매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틱톡 지분 매각 카드로
中과 협상 가능성 거론
◆ 트럼프 시대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對中) 압박에 속도 조절을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중국산 제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해온 것과 달리 취임 첫날 대중 관세를 언급하지 않았고 둘째날에도 10%의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한 게 전부기 때문이다. 또 중국계 동영상 소셜미디어인 틱톡을 구제하겠다며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했다.

2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펜타닐을 멕시코와 캐나다에 보낸다는 사실에 근거해 이러한 방안을 고려 중"이라며 10% 관세 방침을 밝혔다. 이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지난 17일 전화 통화에서 관세 부과에 대해 나눈 대화를 묻는 질문에는 "시 주석은 (관세에 대한) 내 입장을 잘 알고 있다"며 "(관세에 관해) 별로 얘기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당선인 시절 발언대로 전날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곧바로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중국에 대해선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후 기자회견에서 질문이 나오자 그제야 10% 관세 부과 방안을 거론한 것이다.

주목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 금지법 시행을 유예하며 틱톡의 미국 사업권 지분 50%를 미국 기업이 갖는 합작 투자를 대안으로 제시한 점이다. 틱톡 지분 매각을 매개로 중국과 협상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