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통합 나선 혼다-닛산…합병 비율은 5대 1 될 듯

이승훈 기자
입력 : 
2024-12-27 15:06:0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혼다와 닛산이 경영통합 협의를 시작하며 합병 비율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전망에 따르면 혼다와 닛산의 합병 비율은 약 5대 1이 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평균 주가와 자산 규모 등을 바탕으로 결정될 예정이다.

혼다는 합병 반대를 우려해 대규모 주주환원 계획을 발표하며 최대 1조1000억엔을 자사주 매입에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평균 주가, 자산 등 고려 시
닛산이 1일 때 혼다 5 비중
르노의 닛산 지분 36%는
통합 회사서는 3%로 줄어
지난 23일 일본 도쿄도에서 우치다 마코토 닛산 사장과 미베 도시히로 혼다 사장, 가토 다카오 미쓰비시 사장(왼쪽부터)이 3사 경영 통합 협상 개시를 알리는 공동기자회견을 연 뒤 장내 인사를 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지난 23일 일본 도쿄도에서 우치다 마코토 닛산 사장과 미베 도시히로 혼다 사장, 가토 다카오 미쓰비시 사장(왼쪽부터)이 3사 경영 통합 협상 개시를 알리는 공동기자회견을 연 뒤 장내 인사를 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혼다와 닛산이 지난 23일 경영통합 협의를 시작한 가운데 양 사 합병 비율에 관심이 몰리고 있다. 최근의 주가 추이를 감안할 경우 혼다와 닛산의 합병 비율은 대략 5대 1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최근 주가 등을 바탕으로 혼다·닛산 양 사의 합병 비율을 추산해 보도했다.

지난 23일 발표된 양 사 통합 기본합의서에 따르면 합병 비율은 일정 기간의 평균 주가, 자산 규모, 외부 기관의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내년 6월 결정된다. 여기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가다. 객관적인 지표인데다 주주의 이해를 구하기도 쉽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 내 경영통합 사례를 보면 직전 1개월간, 3개월간, 6개월간 등 3개 기간의 평균주가를 산출한 뒤 이를 참고해 통합비율을 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고려해 닛케이는 지난 20일을 기준으로 3개 기간 동안 혼다-닛산-미쓰비시 등 3개 회사의 시가총액을 계산했다.

이 경우 닛산을 1로 했을 때 혼다는 4.8~5.1, 미쓰비시자동차는 0.4로 분석됐다. 통합 회사의 비중을 100%라고 했을 때 혼다가 77~78%, 닛산은 15~16%, 미쓰비시는 6~7%의 비중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해당 계산식을 적용할 경우 신탁 보유분을 포함해 닛산 주식 36%를 가진 프랑스 르노는 새 회사가 출범할 때 약 3%의 지분을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행동주의 사모펀드로 알려진 에피시모 캐피탈 매니지먼트의 비중도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이 회사는 현재 닛산 지분 2.5%를 보유 중이다.

닛산 합병에 부정적인 주주를 겨냥해 혼다는 최근 큰 폭의 주주환원 계획을 발표했다. 미베 도시히로 혼다 사장은 자사주 매입 등으로 최대 1조1000억엔(약 10조원)을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연간 예상 순이익인 9500억엔(약 8조8600억원)을 웃도는 금액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