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트럼프, 加·파나마·그린란드에 폭풍도발

최승진 기자
김덕식 기자
입력 : 
2024-12-26 17:56:06
수정 : 
2024-12-26 19:35:0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크리스마스에도 파나마 운하 반환, 그린란드 매입, 캐나다 편입에 대한 도발적인 발언을 이어갔으며, 이는 그의 '절대 패권'을 향한 의도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그는 파나마 운하에 대한 미국의 발언권 상실을 주장하며 중국의 군사적 전략과 경제적 중요성을 강조했고, 그린란드에 대해서도 국가 안보를 이유로 미국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또한, 그는 캐나다에게도 조롱을 던지며 군사적 보호와 세금 절감 등의 이점을 주장하는 등 국제적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우방국에도 'MAGA' 들이대
파나마대사에 美우선주의자
운하 환수 의지 밀어붙이기
그린란드 소유 덴마크 겨냥
"주민들도 美 오길 원한다"
캐나다 트뤼도 총리에 조롱
"51번째州 되면 세금 감면"
경제·군사요충지 영향 확대
패권주의에 기업도 '줄서기'
사진설명
파나마 운하 반환, 그린란드 매입, 캐나다 편입을 난데없이 주장하며 상대국을 자극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크리스마스인 25일(현지시간)에도 이들에 대한 도발을 이어 갔다. '거래'를 위한 단순 도발이라기에는 정도가 지나치다는 점에서 '절대 패권'을 향한 트럼프 당선인의 본심이 반영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보호무역주의, 까다로운 이민정책으로 대표되는 '고립주의'를 주장해온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을 앞두고 경제·안보 측면을 고려한 '신(新)팽창주의'라는 의제를 던져 국제 질서의 판을 흔들겠다는 의도 또한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트럼프 당선인은 자신이 소유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파나마 운하를 정성스레, 하지만 불법으로 운영하는 중국의 훌륭한 군인들에게 '메리 크리스마스'를 전한다"고 적었다. 트럼프 당선인은 110년 전 이 운하를 건설하던 중 미국인 3만8000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언급하며 중국이 운하 보수 비용 수십억 달러를 미국에 부담하도록 하지만 미국은 운하에 대해 발언권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곧이어 발표한 성명에서 케빈 마리노 캐브레라를 주파나마 대사로 지명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 성명에서 파나마에 대해 "파나마 운하로 우리에게 바가지를 씌우는 나라"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충성파인 캐브레라의 주파나마 대사 임명과 더불어 여러 영토에 대한 욕심을 내는 등 트럼프 당선인은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노선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또한 트럼프 당선인은 그린란드를 소유한 덴마크에 대해서도 도발을 이어 갔다. 그는 "그린란드는 국가 안보 용도로 미국에 필요하고, 그린란드 주민들은 미국이 오기를 원하며, 우리는 갈 것"이라고 말했다. 덴마크 정부가 트럼프의 도발에 반발하며 그린란드에 대한 국방비를 늘리겠다고 밝혔음에도 아랑곳하지 않은 것이다.

파나마와 그린란드는 미국 입장에서 군사적·경제적으로 중요한 요충지로 꼽힌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당선인 측 고위 인사를 인용해 트럼프의 파나마 운하 발언을 "지난 수십 년간 미국이 중국의 성장과 아메리카 대륙에서의 전략적 입지 구축을 도운 시대가 끝났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WP에 따르면 그린란드에는 미사일 방어와 우주 감시 작전을 위한 미군의 전략 기지인 '피투피크 기지(옛 툴레 기지)'가 있다. 러시아는 물론 중국과 우주 경쟁이 치열해지는 현시점에서 중요도가 한층 커졌다. 무엇보다 그린란드는 희토류 광물을 포함한 천연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이 그린란드를 편입하면 중국산 희토류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트럼프 당선인은 1기 시절인 2019년에도 그린란드 매입 가능성을 타진했다. 당시에도 그가 내세운 이유는 국가 안보였다. 취임을 앞둔 시점에 굳이 상대국을 도발하면서 두 지역을 언급한 것은 절대 패권 국가를 향한 트럼프 당선인의 속내가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중국의 부상을 견제함과 동시에 미국 경제·안보가 위협받을 요인을 차단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캐나다에 대한 조롱도 빼먹지 않았다. 트럼프 당선인은 SNS에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에게 크리스마스 인사를 전한다면서 "캐나다가 우리의 51번째 주(州)가 된다면 세금은 60% 이상 줄어들고, 기업들은 규모가 즉시 두 배가 될 것이며, 세계 그 어느 나라보다 군사적으로 보호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트럼프 당선인 취임식을 앞두고 기업들의 후원금이 줄을 잇고 있다. 2021년 1월 6일 의회 난동 사태 이후 정치 행위에 기부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던 기업들도 동참하는 등 트럼프 당선인에 대한 기업들의 '줄 서기'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의회 폭동 당시 기부 중단을 선언한 기업들 가운데 최소 11개 기업 또는 단체가 트럼프 취임식에 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취임식 모금액은 첫 취임식 당시 1억700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서울 김덕식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