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드론 시장 70% 차지…中DJI 본사 가보니
직원 3분의 2가 R&D 인력
농업 드론으로 성장했지만
최근 건설·물류용모델 각광
진출 가능한 영역 무궁무진
생성형AI 분야서도 中굴기
작년 창업 스타트업 '딥시크'
美오픈AI 기술력 턱밑 추격
직원 3분의 2가 R&D 인력
농업 드론으로 성장했지만
최근 건설·물류용모델 각광
진출 가능한 영역 무궁무진
생성형AI 분야서도 中굴기
작년 창업 스타트업 '딥시크'
美오픈AI 기술력 턱밑 추격

지난 25일 오후 직접 방문한 DJI 사옥 내부에는 CEO 못지않은 직원들의 열정이 묻어났다. 외부에 공개된 24층은 전층이 회의실로 구성돼 있었고, 각 회의실에서는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빈 회의실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곳에는 5000명에 가까운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그중 3분의 2가량이 연구개발(R&D) 인력이다.
DJI 사옥 25층의 '공중화원'이라고 불리는 외부 테라스에선 이날 새롭게 출시한 농업용 드론 'DJI T70'을 소개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방송이 한창이었다. T70은 정해진 루트에 맞춰 비료 살포, 방제, 종자 파종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농업용 드론이다. '차이나테크'의 선두주자로 꼽히는 DJI는 2006년 설립된 이후 4년 만에 첫 번째 드론인 '에이스원'을 선보이며 드론 시장에 본격 뛰어들었다. 취미용 드론이 주를 이루던 포트폴리오는 어느새 농업용을 포함한 산업용 드론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DJI의 전 세계 드론 시장 점유율은 70%를 웃돈다. 내수보다 수출이 훨씬 많고, 그중에서도 북미 시장 비중이 높다.
DJI의 드론들은 건설 현장에서 토목 공사와 안전 점검에 쓰이거나 지진·홍수 등 재난 상황에서 구조 활동에 활용되고 있다. 또 물류·배달에 투입돼 배송 시간을 줄이거나 영화나 드라마를 촬영하는 등에도 쓰이고 있다. DJI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드론의 활용 분야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이나테크는 드론뿐 아니라 전기차, 자율주행,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첨단 산업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 AI 스타트업인 '딥시크(deepseek)'가 공개한 AI인 '딥시크-R1'은 미국 실리콘밸리를 깜짝 놀라게 했다. 오픈AI가 9월 공개한 '연쇄 사고' 능력을 갖춘 AI모델 o1에 필적하는 성능을 보였기 때문이다. 불과 두 달 만에 최고 성능의 AI 모델로 꼽히는 o1을 따라잡은 것이다.
중국 기업에 AI 반도체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이뤄진 발전이어서 AI업계는 그야말로 충격에 빠진 분위기다. 딥시크와 01.AI 같은 스타트업 외에도 알리바바, 바이두 등 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모두 AI 모델 개발에 뛰어들었다. 챗봇 성능 비교 사이트인 LM아레나에서 중국에서 개발한 AI 모델은 지난 21일 기준 7위(01.AI), 11위(지푸AI), 13위(알리바바), 20위(딥시크)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AI 굴기'가 무서운 것은 낮은 비용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01.AI의 AI 모델인 이-라이트닝의 추론 비용은 토큰 100만개당 14센트인 반면, 오픈AI의 경쟁 모델인 GPT o1-미니는 26센트다.
[선전 송광섭 특파원 / 실리콘밸리 이덕주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