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증권

12일 美 소비자물가지수 주목

김정석 기자
입력 : 
2025-02-09 17:29:54
수정 : 
2025-02-09 19:59:3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주 국내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의 상호 관세 발표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주요 경제지표에 주목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10~11일 발표하겠다고 전하며, 한국의 수출 부담 확대 가능성을 언급하고 자동차 업계의 우려를 낳고 있다.

CPI는 소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다양한 변수로 인해 예상치를 초과할 가능성도 있으며, 이어서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매판매, 산업생산지표 발표도 예정되어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이번주 국내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발 상호 관세'의 윤곽과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를 주목할 예정이다.

지난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10~11일께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상호 관세는 상대국이 부과하는 관세 수준에 맞춰 그 나라 상품에 같거나 유사한 수준의 세금을 매기는 것이다.

한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낮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상호 관세'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글로벌 교역 위축이 수출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도 검토 대상으로 언급하면서 주요 대미 수출산업인 자동차 업계의 우려도 커졌다.

올 1월 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도 공개된다. 시장에서는 오는 12일 나오는 CPI가 소폭 둔화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로스앤젤레스 산불 여파와 조류인플루엔자발 미국 달걀 가격 급등 현상으로 예상치를 상회할 가능성도 있다. 이튿날에는 PPI가, 14일에는 미국의 1월 소매판매·산업생산지표가 발표된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등 주요 인사들의 발언도 예정돼 있다.

한편 매일경제와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가 공동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주식 위험관리지수 '붐&쇼크지수' 미국판과 한국판 위험 수치는 이번주에도 '0'을 나타냈다. 0은 현금 비중을 축소하고 주식 비중을 늘리라는 의미다.

[김정석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