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증권

“자사주 매입한다는데”…삼성전자보다 더 신바람 난 이 종목

김제림 기자
입력 : 
2024-11-20 19:46:4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삼성전자의 10조원 자사주 매입 소식에 삼성생명 주가가 3거래일 동안 7.79%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이는 삼성전자 자사주 소각 시 삼성생명에 돌아가는 배당 증가와 삼성전자 주식 처분 이익 기대감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미 주가에 빠른 속도로 반영되었고 금리 인하 등 수익성 둔화 요인이 있어 추가 상승폭이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삼성생명 특별배당 기대, 3거래일간 주가 7.8% 올라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 [이충우 기자]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 [이충우 기자]

삼성전자의 10조원 자사주 매입 소식이 삼성전자 주가보다 삼성생명 주가를 더 끌어 올렸다.

20일 삼성생명은 전일대비 0.38% 오른 10만52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입 발표 이후 3거래일 동안 주가는 7.79% 상승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3거래일간 3.36% 상승에 그쳤다.

삼성전자가 자사주 소각을 하면 삼성생명에게 돌아가는 배당이 늘어남과 동시에 삼성전자 주식 처분 이익까지 생긴다는 점이 주가를 올린 것이다.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금산법)상 금융계열사는 비금융계열사 지분 10% 이상의 보유가 사실상 제한된다. 현재 삼성생명, 삼성화재는 삼성전자 지분을 각각 8.51%, 1.49%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3조원(발행주식 수 대비 0.8%)의 자사주를 소각하게 되면 삼성생명과 삼성화재의 지분율이 10%를 초과하는 문제가 생긴다.

금산법 저촉을 막기 위해 삼성생명, 삼성화재는 삼성전자 지분을 일부 매도할 수밖에 없다. 3조원 소각 후 삼성생명이 가진 삼성전자 지분은 8.58%로 늘어나며 기존 지분율을 유지하기 위해선 424만주(2272억원 가량)을 매각해야 한다.

기존 배당성향 38%를 유지한다면 처분이익으로 인한 특별배당의 주당배당금(DPS)는 481억원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통상적인 영업이익으로 인한 배당까지 더해 총 DPS는 5200원이 되기 때문에 현재 주가 수준에서 배당수익률은 5%에 달한다.

현재는 3조원에 대한 소각만 발표했지만 남은 7조원 일부도 소각에 들어간다면 내년 특별배당은 더 많이질 수 있다.

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2018년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지분 처분 당시에도 처분이익이 특별배당으로 이어졌다”면서 “그간 지급여력비율(K-ICS) 개선 등을 감안하면 이번에도 특별배당 가능성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매각으로 인한 이익이 주가에 빠르게 반영된 상황이라 추가 상승폭이 제한되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배승 LS증권 연구원은 “금리인하, 과당경쟁, 비우호적인 정책 기조가 결국 수익성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시장은 고배당에다 자사주 매입·소각까지 예상하고 있지만 현재 자본비율을 감안할 때 추가적인 자사주 매입은 힘들다는 예상이 나온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