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 올 들어 132% 급등
아모레 등 화장품株도 상승세
아모레 등 화장품株도 상승세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필수소비재 기업을 가장 큰 비중(35.74%)으로 구성한 'TIMEFOLIO K컬처액티브' ETF는 지난 한 달간 19.07% 수익률로 국내 상장된 ETF 중 전체 5위였다. 1~4위 모두 반도체 혹은 인공지능(AI) 반도체가 사용하는 전력 관련 종목임을 감안할 때 눈에 띄는 수익률을 기록한 것이다.
TIMEFOLIO K컬처액티브 ETF는 삼양식품(7.67%), 에이피알(6.86%), 실리콘투(4.93%) 등 식품과 화장품 테마의 필수소비재 기업을 다수 구성했다. 이 밖에 'TIGER 화장품'(13.31%), 'HANARO Fn K-푸드'(11.72%) 등 필수소비재 관련 기업으로 구성한 ETF도 준수한 수익률을 거뒀다.
식음료 기업 중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대표 기업은 바로 삼양식품이다. 불닭볶음면이 전 세계에서 인기를 끈 데 힘입어 이날 종가 기준 54만원대로 마감하면서 연초 대비 주가가 132% 상승했다. 연초 대비 2배가 넘는 주가 상승에도 증권가의 목표주가는 계속 높아지는 모습이다. 증권가에서는 삼양식품을 업종 내 최선호주로 꼽는 한편 키움증권 66만원, 한화투자증권 60만원, DS투자증권 60만원 등으로 목표주가를 고치면서 여전히 상승 여력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유정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일회성이 아닌 엄청난 실적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라면·만두·김치·조미김 등 국내 주요 가공식품의 올해 수출액도 역대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관측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전 세계로 한국 콘텐츠가 확산하면서 미국을 포함해 다양한 국가로 가공식품 수출 지역이 확대됐고, 품목도 라면뿐만 아니라 쌀 가공식품, 과자 등 다각화했다.
한동안 부진했던 화장품주도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등 대표주가 1분기 실적 반등에 성공한 이후 섹터 주가가 반등하는 모습이다. 특히 아이패밀리에스씨, 클리오, 토니모리 등 중소형 화장품 회사의 해외 진출 확대가 더해졌다. 정은빈 미래에셋자산운용 매니저는 "지난해 한국 화장품 수출 규모는 85억달러로 전 세계 4위 수준이고, 올해 1분기 한국 기업의 대미 화장품 수출액은 약 2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8.1%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홍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