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스포츠

백악관서 태권도 공연, 트럼프 초청해야죠

김지한 기자
입력 : 
2025-02-04 17:23:27
수정 : 
2025-02-04 19:01:2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는 5월과 7월에 미국에서 태권도 관련 대규모 행사가 개최되어 태권도가 한미 간 문화 외교의 중요한 역할을 할 예정이다.

이동섭 국기원장은 태권도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미국 내 한인 및 전 세계 태권도인들의 자부심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백악관 앞에서의 단체 퍼포먼스를 포함한 행사들은 태권도의 위상을 알리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태권도로 韓美 가교 놓는 이동섭 국기원장
트럼프와 인연, 취임식 다녀와
5월 태권도한마음대축제 이어
7월 해외 첫 태권도한마당 등
美서 문화·스포츠 외교 나서
美 의회 태권도 교실도 재개
"한미동맹 더 끈끈하게 할 것"
이동섭 국기원장이 4일 국기원장실에서 겨루기 준비 자세를 취하고 있다. 김호영 기자
이동섭 국기원장이 4일 국기원장실에서 겨루기 준비 자세를 취하고 있다. 김호영 기자
오는 5월 태권도인들의 우렁찬 기합 소리가 미국 백악관 앞 잔디마당을 뒤덮는다. 7월에는 사상 처음 '세계태권도한마당'을 미국에서 개최한다. '국기(國技)' 태권도가 한미 간 문화 외교의 첨병 역할을 하는 것이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을 받아 미국을 방문하고 돌아온 이동섭 국기원장은 4일 매일경제신문과 만나 "태권도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공공·문화 외교에서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미국에 다시 태권도 바람이 불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미국 내 태권도 수련 인구는 50년 넘게 태권도 전도사 역할을 했던 고(故) 이준구 사범 등의 영향으로 매년 꾸준히 늘어 지난해 660만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연이어 열리는 대형 행사가 미국 내 태권도 발전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5월 중 열릴 '태권도 한마음 대축제'에서는 수천 명의 태권도인이 단체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앞서 2023년 3월 열린 태권도 한마음 대축제에서는 서울 광화문광장에 1만2263명이 모여 태극 1장을 시연했다. 이는 세계기네스협회의 단체 최다 시연 신기록을 세워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번에는 백악관에서 태권도 단체 퍼포먼스를 펼친다. 미국 전역에서 태권도인들이 모여 일사불란하게 태권도 품새 동작을 선보이며, 국기원 시범단도 함께한다.

이 원장은 "백악관에서 매년 아시아 이민자들을 위해 개최하는 '아시아데이' 행사 중 하나로 들어가 태권도의 위상을 제대로 알릴 계획이다. 미국 내 한인뿐 아니라 전 세계 모든 태권도인이 큰 자부심을 지닐 수 있도록 행사를 치러낼 것"이라고 말했다.

1992년 처음 시작해 올해로 30회째를 맞이한 '세계태권도한마당'은 7월 16일부터 24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의 애너하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전 세계 태권도인이 품새, 격파, 호신술, 태권체조 등 기술적 요소를 두고 기량을 겨루는 세계태권도한마당을 해외에서 개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원장은 "전 세계에 운영 중인 국기원 지부가 131개까지 늘었다. 국기원 단증이 발급된 214개국 1만여 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대회를 기획하면서 미국에서의 개최를 추진했다. 가능한 한 전 세계 모든 태권도인을 참여시켜 진정한 의미의 태권도 한마당을 열겠다"고 밝혔다.

국기원은 두 행사에 트럼프 대통령을 초청할 계획이다. 앞서 이 원장은 2021년 11월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태권도 명예 9단증을 수여하고 태권도복을 증정하는 등 인연을 만들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태극기가 박힌 도복을 입고서 "태권도는 세계 최고의 무예"라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올리기도 했다.

이 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별장 집무실 한쪽에 국기원 명예 9단증을 '인생에서 자랑스러웠던 순간' 중 하나로 함께 내건 것을 보고, 태권도에 대한 그의 존중과 애정을 느꼈다. 태극기가 새겨진 태권도복을 입고 '한국 사람들은 위대하다'고 말했던 것도 인상적이었다. (초청할 예정인) 두 행사에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하는 것만으로도 한미동맹 강화의 상징적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지난달 말 미국 연방 하원의원들과 만나 이른바 '태권도 외교'를 하고 왔다. 11선의 팀 월버그 의원(공화당·미시간), 하원 외교위원장 출신의 그레고리 믹스 의원(민주·뉴욕) 등 하원의원들과 만나 태권도의 저변 확대·발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으며, 이달 초부터 미 연방 상·하원 의원회관에 태권도 교실을 재개하기로 했다.

20대 국회의원 출신으로서 미국 정치인들과 경제·안보 현안도 논의했다는 이 원장은 "태권도의 기본은 '충·효·예'다. 국기원장이지만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인 '충'을 담아 관세 문제, 한국 내 정세에 대한 의견을 전했고 미국 정치인들도 긍정적 반응을 내놓았다"고 밝혔다. 그는 "태권도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2억명가량 된다. K컬처, K팝의 인기 이전에 전 세계적으로 보급된 태권도는 '원조 한류'로 꼽힌다. 민족의 문화유산인 태권도가 민간 외교에서 큰 역할을 하며 세계 속에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김지한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