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획·연재

대신증권, 국채·통안채 등 A- 등급 이상 채권으로 포트폴리오

입력 : 
2025-05-18 16:06:5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증권은 최근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 증가에 따라 '대신343 우량채권' 상품을 추천하며, 채권 투자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상품은 60% 이상 국내 우량채권에 투자하며, 듀레이션을 유동적으로 조절하여 금리 변동 위험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대신343 우량채권은 낮은 투자위험 등급을 가지고 있지만, 시장 이자율 상승 등 외부 요인에 따라 원본손실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경고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대신343 우량채권
사진설명
대신증권은 우량 채권에 투자하는 '대신343 우량채권'을 추천했다. 최근 미국의 관세정책 등으로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커지면서 채권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금리 인하기에 맞춰 매매차익을 노린 채권투자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대신증권은 채권에 직접 투자하기 망설여지는 고객을 위해 우량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대신343 우량채권은 60% 이상을 국내 채권에 투자해 수익을 얻는 상품이다. 단기·중기 구간 영역(잔존만기 5년 이하)의 국채, 통안채, 공사채, 금융채 등 주로 국내 우량채권(A- 등급 이상)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대외경제지표 및 통화정책 등의 시장 상황에 따라 가중평균만기(듀레이션)를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특징이다.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펀드 듀레이션을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회사채와 CP 등은 가능한 한 만기 보유하는 투자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사다리형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안정성과 유동성을 확보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단기채 비중을 장기채보다 높게 설정하는 바벨 전략을 추구한다.

유동성 위험을 줄이는 차원에서 자금 유출입을 고려해 환금성이 높은 국고채와 통안채, 은행채 등을 일정 비율 편입했다. 레포 전략으로 유동성 자산 등을 활용해 유동성 위험을 최소화했다. 신용리스크 관리를 위해 채권은 A- 등급 이상, CP나 단기사채는 A2- 등급 이상 우량 자산에 투자하고, 금융 대기업 우량회사채 등 업종별 분산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대신343우량채권'은 2015년에 설정되어 대신증권에서 판매하고 있는 대표상품이다. 실제 수익률 변동성을 기준으로 위험등급을 구분한 결과 실제 연환산 표준편차는 0.58%다. 이에 따라 투자위험 6등급 중 5등급에 해당되는 낮은 위험 수준의 투자위험을 지니고 있다. 다만 낮은 수준의 위험등급인 경우에도 시장 이자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거나 신용등급 하락 시 채권가격의 하락으로 인해 원본손실의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고 대신증권 측은 설명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