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는 2025년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인 '카나나'를 출시하면서 일반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AI 영역에 뛰어든다. 그동안 카카오톡으로 쌓아온 대화형 서비스 역량에 AI 기술력을 더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한다는 포부다. 신규 서비스뿐만 아니라 카카오는 카카오톡,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 영역에 AI를 도입하며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지난해 10월 카카오 개발자 콘퍼런스인 이프카카오에서 공개한 카나나는 대화를 분석해 맞춤형 답변을 제공하는 'AI 메이트' 역할을 내세운다. 1대1 대화에 특화된 메이트 '카나'와 그룹 대화에 맞춤화된 '나나'라는 메이트가 이용자들의 대화 속에 함께하며 주요 정보를 기억해 답하는 방식이다.
만약에 팀원들과 함께하는 그룹 대화라면 대화에서 공유한 콘퍼런스 참석 일정과 준비물을 카나가 기억해뒀다가 이를 잊지 않도록 각 참가자에게 메시지로 알려주기도 한다. 또한 연인 간 대화에서는 나나가 귓속말 기능을 통해 데이트 장소 등을 제안해줄 수 있다.
카나나는 카카오톡과 별개의 애플리케이션(앱)으로 나오는 카카오의 차기 핵심 서비스가 될 전망으로, 1분기 중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베타 테스트를 시작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각 서비스에 최적화된 모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카나나 AI 모델 10종도 발표했다. 카카오는 "많은 투자를 하며 초거대 언어모델 경쟁을 하기보다 이용자향 AI 서비스에 가장 적합하고 비용 효율적인 모델을 적용하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활용한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톡에서도 AI 기능을 접목하는 시도는 이어질 예정이다. 현재 카카오톡 채널 내에서는 AI가 카카오톡 친구를 위한 선물 상품 등을 추천해주는 AI 쇼핑 메이트 베타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선물하는 맥락과 선물 받는 친구의 특성을 말해주면 이에 맞는 상품을 추천해주는 온라인 퍼스널 쇼퍼 역할을 하는 AI 기능이다.
카나나, 카카오톡 등을 통해 이용자들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AI의 대중화를 이끈다는 것이 카카오의 큰 그림이다.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헬스케어 등 카카오 계열사들도 사업 다각화와 글로벌 확장이 올해 키워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T'를 고도화하는 동시에 미래 먹거리가 될 자율주행 기술과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정호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