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AI 패권 쥔 美, 변동장서 매력 여전"

정유정 기자
입력 : 
2025-05-12 17:56:17
수정 : 
2025-05-12 19:24:5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태혁 삼성자산운용 ETF운용본부장은 미국의 AI 기술 패권과 기술 발전을 근거로 여전히 미국 중심의 투자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개인 포트폴리오에서 60% 정도를 미국 자산에 배분하고, AI 관련 기업에 대한 선별 투자도 추천하였다.

또한 그는 인도를 유망 투자처로 언급하며, 삼성자산운용의 S&P500 추종 ETF 라인업이 고객 수요에 맞춰 evolucion하고 있다고 말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임태혁 삼성운용 ETF본부장
"매달 S&P500 매수도 유망"
사진설명
"올해 미국 증시가 부진했지만 여전히 미국 중심의 투자가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임태혁 삼성자산운용 ETF운용본부장이 지난 9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은 여전히 인공지능(AI) 기술 패권을 쥐고 있으며 기술 발전도 이어지는 만큼 미국 주식을 중심에 두는 전략이 바람직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미국이 선진국 주식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0~70%에 달하는 만큼, 개인 포트폴리오에서도 60% 정도는 미국 자산에 배분하는 것이 좋다"며 "미국을 '코어 자산'으로 삼고 다른 국가나 테마·채권·원자재 등을 '위성 자산'으로 삼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임 본부장은 실제로 자녀들 명의 계좌에 매달 20만원씩 자동이체로 KODEX 미국S&P500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하고 있다. 그는 "S&P500 지수는 지난 35년간 연평균 10%씩 상승해왔다"며 "마음 편하게 장기 투자와 증여를 병행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임 본부장은 더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싶은 경우 올해 낙폭이 컸던 빅테크 위주로 선별 투자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AI 관련 소프트웨어 기업이나 AI 산업으로 수혜가 예상되는 전력 인프라스트럭처 기업이 유망하다"고 밝혔다.

또 팰런티어 투자 비중이 22%가 넘는 'KODEX 미국AI소프트웨어TOP10', 테슬라·엔비디아 비중이 높은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미국 전력기업에 투자하는 '미국AI전력인프라' ETF 등을 추천했다.

미국 외 지역으로는 인도를 유망 투자처로 꼽았다. 그는 "인도는 지난해 9월 주가수익비율(PER)이 23.9배였지만, 4월 기준 19.5배로 내려와 상대적으로 저렴해졌다"며 "미국의 고율 관세가 중국에는 타격이 크지만 인도에는 영향이 작은 만큼 비중 확대가 유효하다"고 전했다.

임 본부장은 삼성자산운용의 S&P500 지수 추종 ETF 라인업이 투자자 수요에 맞춰서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삼성자산운용은 2021년 최초로 S&P500 TR ETF를 상장했고, 지금은 이를 환헤지형·섹터형·커버드콜·버퍼·액티브 ETF까지 확대했다"며 "고객 니즈에 맞춰 '5.0 버전'에 접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에는 'KODEX 미국S&P500' 분배 정책도 공표하면서 유사 상품 중 가장 많은 분배금을 지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유정 기자 / 사진 이충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