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기혼자 10명 중 1명 혼인신고 안했다는데...이유는 “집 때문에”

김지윤 기자
입력 : 
2025-04-17 13:51:3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혼정보회사 가연의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8.8%가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기혼자로, 그 중 56.8%는 신혼집 마련의 유리함을 이유로 들었다.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응답자는 '혼인신고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이유도 제시했으며, 혼인신고를 한 비율은 91.2%였다.

조은하 커플매니저는 신혼부부를 위한 혜택을 강조하며 혼인신고 시점을 전략적으로 결정할 것을 권장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사진출처 = 연합뉴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사진출처 = 연합뉴스]

신혼집 마련 시 미혼이 더 유리하다는 등의 이유로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기혼자가 10명 중 1명꼴로 나타났다.

지난 16일 결혼정보회사 가연이 최근 25~39세 기혼남녀 500명(남녀 각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결혼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응답자는 전체의 8.8%였다.

아직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응답자 중 56.8%는 ‘미혼일 때 신혼집 마련이 더 유리해서’라고 답했다. 이어 ‘혼인신고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8.2%), ‘결혼해도 반드시 해야 하는 절차는 아니라고 생각해서’(15.9%), ‘아직 배우자에 대한 믿음이 부족해서’(2.3%) 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반면 혼인신고를 이미 마친 비율은 91.2%였다. 이 중 ‘결혼식을 올린 후 1년 이내’ 혼인신고를 한 응답자가 47.4%로 가장 많았고, ‘결혼식을 올리기 이전’이 29.8%로 뒤를 이었다. 이어 ‘결혼식을 올린 후 2년 이내’(7.2%), ‘3년 이내’(3.6%), ‘3년 이상’(3.2%) 순이었다.

혼인신고를 한 이유로는 ‘결혼하면 당연한 절차라고 생각해서’라는 응답이 37.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혼집 마련 혜택을 받기 위해서’(32.5%), ‘배우자에 대한 신뢰’(20%), ‘자녀 교육 문제’(6.8%)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 차이도 나타났다. ‘결혼식을 올리기 이전’ 혼인신고 비율은 20대가 42.8%로, 30대(23.4%)보다 훨씬 높았다. 반대로 30대는 ‘결혼식 후 1년 이내’ 신고 비율이 52.4%로 가장 높아, 보다 신중한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엿보였다.

조은하 가연 커플매니저는 “혼인신고를 미루는 가장 큰 이유로 ‘신혼집 마련’을 꼽은 이들이 많았다. 이는 여전히 청약 등에서는 미혼일 때 더 유리하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며 “최근엔 신혼부부 특별공급, 세액공제, 청약 기회 확대 등 기혼자를 위한 혜택도 강화되고 있으니 참고해 전략적으로 혼인신고 시점을 결정하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