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에 공식 대화 첫 제안해
20일 전국의사궐기대회 개최
"내년 정원 서둘러 확정해야"
20일 전국의사궐기대회 개최
"내년 정원 서둘러 확정해야"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사진)가 정부와 국회에 의료 정상화를 논의하기 위한 장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하며 대화 모드에 나섰다. 지난해 2월 의정 갈등이 불거진 이래 의협이 당정에 공식 대화를 제안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의협은 이번 사태의 핵심 당사자인 전공의·의대생들이 대통령 파면을 계기로 협상 테이블에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다음 정권이 들어서기 전에 갈등 문제를 마무리하자고 당정에 촉구했다.
의협은 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오는 6월 3일에 치러지는 대통령선거 전에 정부·국회가 의료계와 대화 창구를 만들고 이번 갈등을 매듭지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의료 정상화는 차기 정부가 들어서기 전 현 정부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라며 "이젠 정부와 국회가 제대로 결정권을 갖고 의료계와 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의협이 '소통 모드'로 대정부 태세를 전환한 데는 대통령 파면이 큰 영향을 미쳤다. 김 대변인은 "지난해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우리 의견이 개진되기 힘든 구조였기 때문"이라며 "의대 정원 확대부터가 미약한 근거로 밀어붙이는 식이었기에 다른 과제들도 그럴 것이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2000명 증원의 설계자인 대통령이 사라진 만큼 의료계 요구 사항을 논의하고 결정할 테이블만 마련된다면 이른 시간 내 의료 정상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의협은 보고 있다. 의협과 정부가 대타협을 이뤄내도 전공의·의대생이 여전히 복귀를 거부할 수도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가능성을 일축했다.
협상 테이블 마련과 더불어 의협은 이날 의개특위 활동을 중단하라는 것과 2026학년도 정원을 서둘러 확정해 달라는 요구도 덧붙였다. 각 대학이 교육 여건 미비를 지적할 경우 내년도에는 학생을 아예 뽑지 않는 방안도 허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협은 해당 조건을 관철하기 위해 예정대로 오는 20일 서울시청 인근에서 전국의사궐기대회를 연다. 이에 앞서 13일에는 전국대표자대회와 대선기획본부 출범식을 개최한다. 김 대변인은 "대선기획본부 출범식에서 국회에 제시할 건의 사항이나 의료계 공약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전체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발표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달 말까지 각 의대가 모집 인원을 확정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통보해야 하는 만큼 이르면 이번주 내, 늦어도 다음주에는 입장이 나올 전망이다.
[심희진 기자 / 최원석 기자 / 권한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