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9개월 간 우주서 발 묶였던 美 우주비행사들의 귀환여정

권민선 기자
입력 : 
2025-03-19 16:23:1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해 6월 우주캡슐 ‘스타라이너’의 시험비행 중 예상치 못한 문제로 9개월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머물렀던 우주비행사 2명이 18일 지구로 귀환했다.

귀환한 우주비행사들은 NASA 소속의 부치 윌모어와 수니 윌리엄스로, 스타라이너의 결함으로 인해 ISS에 장기 체류하게 된 결과이다.

윌리엄스는 이번 체류 기간 동안 9차례의 우주유영을 수행하며 역대 여성 우주비행사 중 최장 시간의 우주유영 기록을 달성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지난해 6월 우주캡슐 ‘스타라이너’를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시험비행을 떠났다가 예기치 않은 문제들로 장기간 발이 묶인 우주비행사 2명이 9개월여 만에 지구로 돌아왔다.

18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과 스페이스X는 ISS에 체류하던 부치 윌모어(62)와 수니 윌리엄스(59) 등을 태운 우주캡슐 드래건이 지구로 돌아오는 모습을 NASA+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생중계했다.

우주캡슐 ‘드래건’을 타고 귀환 중인 크루-9 우주비행사들.[사진 출처 = NASA+ 스트리밍 화면 캡처]
우주캡슐 ‘드래건’을 타고 귀환 중인 크루-9 우주비행사들.[사진 출처 = NASA+ 스트리밍 화면 캡처]

미 동부 시간으로 이날 오전 1시 5분께 우주비행사 4명을 태우고 ISS를 출발한 드래건 캡슐은 약 17시간 뒤인 오후 5시 57분께 플로리다 앞바다에 입수했다.

이날 지구로 돌아온 우주비행사 4명 가운데 NASA 소속 윌모어와 윌리엄스는 지난해 6월 5일 약 8일간의 우주 체류 여정으로 지구를 떠났다가 결국 약 286일 만에 돌아오게 됐다. 스타라이너의 추진기 고장·헬륨 누출 등의 결함이 그 원인이다.

스타라이너의 결함이 확인되자, NASA는 두 사람의 안전을 위해 스타라이너를 무인 상태로 귀환시켰다. 이후 NASA는 ISS로 우주인 2명을 추가 투입했다. 윌모어와 윌리엄즈는 이들과 함께 크루-9팀으로서 임무를 수행해야 했다. 적정 인원을 반드시 ISS에 남겨둬야 한다는 NASA의 원칙 때문이다. 3개월 뒤, 크루-10팀이 드래건을 타고 ISS로 올라오고 나서야 윌모어와 윌리엄즈는 지구로 돌아올 수 있었다.

지구인들을 실은 드래건이 지구 상공에 들어왔다.[사진 출처 =NASA+ 스트리밍 화면 캡처]
지구인들을 실은 드래건이 지구 상공에 들어왔다.[사진 출처 =NASA+ 스트리밍 화면 캡처]

한편, 윌리엄스는 이번 ISS 체류 기간에 수행한 우주유영을 더해 통산 9차례에 걸쳐 총 62시간의 우주유영을 달성했다. 역대 여성 우주비행사 중 최장 시간의 우주유영 기록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