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마은혁 임명·明특검 모두 보류되나

안정훈 기자
구정근 기자
입력 : 
2025-03-03 17:56:55
수정 : 
2025-03-03 19:34:5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4일 국무회의에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와 명태균 특검법 처리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최 권한대행은 헌재의 결정은 존중하되,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결과에 따라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편,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마 후보자 임명을 반대하며 단식 농성에 돌입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최상목, 오늘 국무회의 주재
與박수영 '마은혁 반대' 단식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가운데 이 자리에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및 명태균 특검법 거부권 행사 여부에 대해 언급할지 관심이 모인다. 최 권한대행은 일단 이날 처리를 미룬 뒤 국무위원 간담회를 소집해 의견을 묻는 과정을 한 번 더 거칠 것으로 알려졌다.

3일 총리실과 기재부 등에 따르면 최 권한대행은 4일 오전 10시 국무회의를 주재한 직후 국무위원 간담회에서 쟁점 사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지난달 27일 헌법재판소가 "마 후보자 불임명은 위헌"이라는 결정을 내렸지만, 임명 시기에 대한 언급은 없었던 만큼 한 번 더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진다.

같은 날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명태균 특검법 역시 오는 15일까지 처리 가능한 만큼 다음 국무회의(3월 11일)에서 최종 방침을 정할 전망이다.

최 권한대행은 마 후보자에 대한 헌재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입장이지만, 헌재의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선고일이 조만간 잡힐 가능성도 고려하고 있다. 한 총리의 탄핵이 기각되면 권한대행 직위가 한 총리에게 다시 돌아가기 때문에 최 권한대행이 먼저 임명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평가가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선고일 전망이 아직 불확실하고 더불어민주당이 핵심 법안 처리가 달린 국정협의회를 보이콧하며 마 후보자 임명을 압박하고 있어 최 권한대행이 조만간 결단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마 후보자 임명을 반대하며 지난 2일부터 국회 본관에서 무기한 단식 농성에 돌입했다. 박 의원은 "대통령 탄핵심판의 최후 변론까지 끝난 상황에서 마 후보자가 뒤늦게 탄핵 심리에 개입하는 것은 판결의 공정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안정훈 기자 / 구정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