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법원 난동' 절반이 2030 … 헌재도 테러 공포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지 세력의 서부지법 난동 사태 이후 헌법재판소에서도 소요 가능성이 높아지며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헌재는 보안을 강화하고 있으며, 온라인에서 헌재에 대한 위협 게시물이 등장하기도 했다.

경찰은 서부지법 및 헌재 인근에서 발생한 난동 사건과 관련해 90명을 체포하고, 그 중 일부는 구속영장을 신청한 상황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경찰, 서부지법 사태 수사
90명 체포해 66명 구속영장
영장판사 사무실 노린 정황
◆ 尹대통령 파면 ◆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강성 보수단체 회원들이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난동 사태를 일으킨 이후 윤 대통령 탄핵 사건을 담당하고 있는 헌법재판소에서도 소요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서부지법 난동 사태 하루 만인 20일 헌재는 만일에 대비해 심판정 보안을 대폭 강화하고, 외곽 경비도 보강하기로 했다. 이날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내 모 갤러리에는 "헌법재판소에 불을 지르겠다"는 취지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천재현 헌재 공보관은 "재판관 신변 보호는 이뤄지고 있으며 필요시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경 폭력 시위대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지고 있지만 서부지법 난동 사태 이후 강성 지지자들 사이에선 서부지법뿐 아니라 헌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야당 등에도 '본때를 보여줘야 한다'는 발언이 잇달아 쏟아지고 있다.

경찰의 대응도 빨라지고 있다. 지난 18~19일 서부지법과 헌재 인근에서 발생한 난동 사태와 관련해 경찰에 현행범으로 체포된 이는 90명에 이른다. 현행범으로 체포된 90명 중 20·30대는 46명(51%)으로 집계됐고, 서부지법 내부에 침입한 극우 유튜버는 3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이들 중 우선적으로 66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현안질의에서 천대엽 법원행정처장은 "물적 측면에서 현재 6억~7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법원행정처는 폭력 행위에 가담한 인원 모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기로 했다. 천 처장은 서부지법에 난입한 이들이 영장전담판사 사무실 위치를 알고 의도적으로 파손했다는 분석도 내놨다.

[문광민 기자 / 박민기 기자 / 홍혜진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