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적극 도입하는 지자체들
인천, 도시계획 초안 작성때
AI 활용해 기간 절반 단축
광주, 보이스봇이 민원 처리
교통·환경·농업에도 AI 접목
"주민 문제 효과적으로 해결"
인천, 도시계획 초안 작성때
AI 활용해 기간 절반 단축
광주, 보이스봇이 민원 처리
교통·환경·농업에도 AI 접목
"주민 문제 효과적으로 해결"

5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인천시는 최근 생성형 AI 서비스인 'GPT-4o' 등을 활용한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변경'을 공고하며 상위 계획인 국토종합계획과 새로 도입된 제도 등을 반영해 균형 발전을 이루고 지속 가능한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담았다.
시는 인천시 정책 자료, 통계청 자료, 국토연구원의 국토 모니터링 자료 등을 챗GPT에 입력해 도시기본계획 목표와 전략 실천 방안 등이 담긴 초안을 만들고 전문가·부서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변경안을 확정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AI를 초안 마련 단계에 활용해 통상 23개월이 걸리던 기본계획 변경을 9개월로 단축했다"며 "이렇게 번 시간으로 부서 의견 수렴을 촘촘히 할 수 있게 됐고 비용·시간 문제로 덜 신경 썼던 포용·안전·방재 등의 분야도 더 깊게 검토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경기도는 올해부터 아동급식 지원 플랫폼(씨앗밥상)에 AI·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했다. 이 AI 기반 시스템은 급식 재료 구매 영수증 인식, 구매 내역 분석, 이상 거래 탐지, 지출 증빙, 센터 출결 시스템과 연계된 식수 인원 확인 등 모든 과정을 자동화했다.
경기교통공사는 혼잡 시간대 상담 대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전국 지자체 최초로 광역이동지원센터 콜센터에 AI 상담원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교통약자특별교통수단 이용자의 최근 이동 지역을 분석해 신속한 이용 접수와 차량 배차를 지원한다.
경기 성남시는 전국 지자체 최초로 야탑동 재활용 선별장에 광학 선별기와 AI 로봇 선별기 등을 설치해 재활용 선별장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선별 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을 줄이며 안전사고 위험을 크게 낮추는 효과를 봤다.
광주시는 특광역시 중 처음으로 직원 당직제를 폐지하고 AI 보이스봇 '당지기'를 '채용'했다. AI 당지기는 실시간으로 민원을 자동 접수한 뒤 5개 자치구, 종합건설본부 등 해당 민원 처리기관에 연결하거나 담당 부서에 전달한다.
울산시는 AI 위치 기반 공공 정보 검색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이는 AI와 공간 정보를 융합한 검색 서비스로 맞춤형 관광, 일자리 정보, 재난 대피소, 산업단지 입주 기업 등 4개 행정 활용 모델을 개발해 울산시와 5개 구·군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강원도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지난해 정보화정책과 내에 디지털전환팀을 신설하고, 같은 해 12월에는 청사 내 디지털 아나운서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AI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전남도는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문서 작성, 데이터 분석 등 반복적인 행정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제주도는 농작물의 생육 상태와 병해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최적의 수확 시기를 제시하는 등 AI를 농가 소득을 증대하는 첨단 기술로 활용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하수를 관리하기 위해 AI 기술이 적용된 첨단 지하수 수위 관측망을 운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기술이 지방 행정 자동화를 도와주면서 잡무에서 해방된 지자체들이 보다 질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행정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병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AI를 행정에 접목함으로써 주민이 겪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예측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이대현 기자 / 지홍구 기자 / 이상헌 기자 / 송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