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주문 접수 시 각별한 주의”

군 간부를 사칭한 ‘노쇼(예약 부도)’ 사건이 전국에서 잇따라 발생하자 경찰이 광역 수사에 나섰다.
3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최근 군 간부 등을 사칭해 소상공인에게 단체 주문을 넣은 뒤 잠적한 사건이 전국적으로 76건 확인됐다고 밝혔다. 개중에는 군 간부를 사칭한 이가 소상공인에게 전투식량·식자재 대리 구매를 빙자해 돈을 건네받는 사기 사건도 있었다.
군 간부를 사칭한 이들은 부대 인근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소상공인을 집중적으로 노렸다.
앞서 지난달 충북 충주시에선 음식점 6곳이 ‘군인이 수십인 분의 음식을 주문한 뒤 잠적했다’고 경찰에 신고했다. 지난 6월 충북 청주시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발생했다.
군 간부를 사칭한 신원 미상의 주문자는 식당 주인과 연락을 주고받으며 주문이 제대로 들어갔는지 확인하고, 영수증 사진을 요구하기도 했다. 약속한 시간에 맞춰 음식을 다 준비하고, 주문자와 연락이 끊긴 뒤에야 소상공인들은 자신이 속았다는 사실을 알았다. 용의자는 범행에 대포폰(불법 차명 휴대전화)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범행 동기도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은 지난 2일 강원경찰청 형사기동대를 집중 수사 관서로 지정하고, 전국 사건을 병합했다.
현재까지 관련 사건이 접수된 시도경찰청은 부산·인천·울산·경기남부·경기북부·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청 등 12곳에 이른다. 단일 사건 기준으로 가장 많은 금전적 피해를 입은 사례는 2520만원을 잃은 울산 지역 소상공인이다.
경찰 관계자는 “소상공인들은 대량 주문 접수 시 예약금 설정, 공식 전화번호 확인 등 각별한 주의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일 충남 공주시에서 민생토론회를 열고 노쇼로 인한 소상공인 피해를 줄이겠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노쇼 피해가 연간 4조5000억원에 달한다”며 “예약 보증금제를 마련하고, 소비자 분쟁 해결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