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경기도, 김 생산액 87.2% 증가 역대 최대

정진욱 기자
입력 : 
2024-05-29 11:34:3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도 올해 김 양식 생산액이 408억 9000만 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최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전국적으로 김 생산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현재 경기 해역 환경에 맞춘 병해에 강하고 해수면 온도 상승에도 성장이 양호한 김 종자 개발 시험 연구 사업을 추진 중이다.

김봉현 경기도 해양수산과장은 "올해 물김 위판 가격 상승으로 어업인의 소득이 많이 늘어났지만, 수온 상승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로 김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어 지속적인 소득 보장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종자 개발 등 신규사업을 발굴해 지속 가능한 김 양식 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지난해보다 대폭 늘어 409억원
생산량 줄었으나 단가 상승 덕봐
경기도 김 양식장[경기도 제공]
경기도 김 양식장[경기도 제공]

경기도 올해 김 양식 생산액이 408억 9000만 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9일 경기도가 올해 생산량을 자체 집계한 결과 2024년산 김 생산량은 2만 1846톤, 생산액은 408억 9000만 원으로 파악됐다.

올해 생산량은 전년 2만 2513톤보다 약 3% 감소했지만, 생산액은 전년 218억 4000만 원에서 무려 87.2%(190억 원) 증가한 것으로 경기도에서 김 양식을 시작한 이후 최대 금액이다.

생산액이 많이 증가한 이유는 전국적인 김 작황 부진으로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올해 전국 생산액은 전년 대비 77%, 전국 1위인 전남도 생산액은 78% 증가했고, 도내 어가 평균 수입도 전년 3억 800만 원에서 5억 7600만 원으로 87.2%(2억 6800만 원) 상승했다.

도는 매년 6억 원 이상의 사업비를 투자해 화성·안산시 김 양식장을 지원하고 있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최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전국적으로 김 생산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현재 경기 해역 환경에 맞춘 병해에 강하고 해수면 온도 상승에도 성장이 양호한 김 종자 개발 시험 연구 사업을 추진 중이다.

김봉현 경기도 해양수산과장은 “올해 물김 위판 가격 상승으로 어업인의 소득이 많이 늘어났지만, 수온 상승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로 김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어 지속적인 소득 보장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종자 개발 등 신규사업을 발굴해 지속 가능한 김 양식 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