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아파트는 언감생심, 비싸도 너무 비싸요”…빌라 거래량 전세사기 전 수준 회복

백지연 기자
입력 : 
2025-05-22 10:53:5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의 연립·다세대주택 실거래가격이 2022년 7∼8월 수준으로 회복하며, 3월에는 매매 실거래가격지수가 2.05% 상승했다.

전세사기 문제가 완화되면서 올해 1∼3월 누적 상승률이 3.58%에 달하고, 거래량 역시 31.3% 증가하여 활성화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파트 가격 상승에 따른 빌라의 가격 경쟁력이 증가한 것이 시장 회복세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서울 용산구의 한 공인중개업소 전면부에 빌라 등 다가구주택 전·월세 매물장이 붙어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 용산구의 한 공인중개업소 전면부에 빌라 등 다가구주택 전·월세 매물장이 붙어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 연립·다세대주택(빌라) 실거래가격이 전세사기 사태가 본격화하기 전인 2022년 7∼8월 수준으로 돌아갔다.

2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3월 서울의 연립·다세대주택 매매 실거래가격지수는 전월보다 2.05% 오르며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월 대비 3월 상승 폭은 2022년 6월(2.3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20∼2021년 2년 연속 10%대 상승률을 보인 서울 빌라 실거래가격은 전세사기 사태가 불거진 2022년 2.22% 하락했고, 2023년에는 0.85% 오르며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전세사기 문제가 서서히 잦아들면서 작년 실거래가격은 3.44% 상승했는데, 올해는 1∼3월 누적 상승률이 3.58%로 작년 연간 상승률보다 크다.

올해 3월 서울 빌라 실거래가격지수는 143.7로 2022년 8월(143.9) 수준까지 높아졌다.

실거래가지수는 시세 중심의 매매가격지수와 달리 실제 거래된 가격을 동일 주택형의 이전 거래가와 비교해 지수화한 것이다.

부동산 시장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바로미터’인 거래량도 살아나고 있다. 지난 3월 서울 연립·다세대 주택 거래량은 3024건으로 1년 전(2304건)보다 31.3% 증가했다.

서울 빌라 거래량이 3000건을 넘어선 것은 2022년 7월 이후 처음이다.

서울 빌라 매매수급 동향은 4월 99.4를 기록하며 ‘수요 우위(100 이상)’에 가까워졌다.

서울과 함께 경기도 연립·다세대 실거래가도 1분기 1.40% 상승했으나 다른 지역은 아직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인천에서는 1분기 빌라 실거래가격이 2.86% 떨어졌다. 이 지역 빌라는 2022년부터 4년째 하락세다. 지방 빌라는 1분기 2.57%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올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이 이어지면서 가격 부담이 커지자, 빌라가 대체제로 부각된 점을 시장 회복세의 요인으로 보고 있다. 아파트값이 오르는 동안 빌라 가격은 내려가거나 제자리걸음을 해 가격 경쟁력이 생겼다는 것이다.

수도권의 시세 7억∼8억원(공시가격 5억원) 이하 빌라를 보유해도 청약 때 무주택자로 인정하는 등 비(非)아파트 시장을 살리기 위한 정부 정책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