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특공 운영실태 보고서
다자녀·기관추천 60% 미달
청약자 없어 일반공급 전환
"유형 조정 등 탄력운영 필요"
다자녀·기관추천 60% 미달
청약자 없어 일반공급 전환
"유형 조정 등 탄력운영 필요"

24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특별공급 청약제도의 운영 실태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청약홈에서 제공하는 86만95가구에 대한 청약 자료를 분석한 결과 특별공급으로 최초 배정된 비율은 49.0%로 나타났다. 그러나 20.5%는 청약자가 없어 일반공급으로 전환돼 실제 수요자에게 공급된 특별공급은 28.5%에 불과했다. 전국에서 10가구를 분양하면 약 5가구가 특별공급으로 배정됐지만 실제 특별공급이 진행된 가구는 3가구에 불과한 셈이다.
심지어 청약자가 하나도 없어 특별공급 물량 전체가 일반공급으로 전환된 사례도 전체의 12.9%에 달했다. 특히 다자녀(73.0%), 기관 추천(62.5%), 노부모 부양(61.6%) 특별공급은 청약자를 찾지 못하는 비율이 6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서울과 세종, 제주는 대부분 실제 특별공급으로 이어졌으나 경북, 울산, 충남은 일반공급으로 전환된 물량 비율이 30%를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건산연은 "특별공급제도는 지역별·상품별 수요 편차가 커져 운영 효율성이 낮아지고 있다"며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생애최초·신혼부부 등 수요가 높은 유형의 공급은 늘리고 다자녀·기관 추천 등 미달 비율이 높은 유형은 줄이는 쪽으로 재설정하는 방식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지역별로도 수요에 맞는 비율을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 건산연은 장기적으로는 특별공급제도의 정책 효과에 대한 검증, 주택 판매 방식의 민간 부문 자율성 확대, 분양가상한제 지역에 대한 사후관리제 도입 등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동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