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지가상승률 1위는 강남구 거래 없어도 땅값은 '활활'

이희수 기자
입력 : 
2025-04-24 17:59:16
수정 : 
2025-04-24 19:18:0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해 1분기 전국 땅값은 0.5% 상승했으며, 특히 서울 강남구가 1.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토지 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 감소하여 약 43만3000필지에 이르렀고, 순수토지 거래량은 11.5% 줄었다.

전국적으로 토지 거래량은 일부 지역에서 증가한 반면, 대구와 제주 등에서는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전국 땅값 1분기 0.5% 상승
강남·용인·서초 순 많이 올라
거래량은 전년보다 2.6% 줄어
전국 땅값이 올해 1분기(1~3월) 0.5% 올랐다. 땅값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 강남구였다. 다만 토지 거래량은 1년 전에 비해 2.6% 감소했다. 24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2025년 1분기 지가 변동률과 토지 거래량을 이같이 발표했다. 전국 지가는 0.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0.43%)보다는 상승폭이 커졌다. 다만 분기별로 보면 작년 3분기 0.59%, 4분기 0.56%로 상승폭이 둔화하는 추세다.

수도권 지가는 0.66% 오르며 전년(0.56%) 대비 상승폭을 키웠다. 서울은 0.8% 상승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경기(0.57%)와 부산(0.33%)이 뒤를 이었다. 제주만 땅값이 0.21% 떨어져 2023년 4분기부터 6개 분기 연속 하락했다.

전국 252개 시군구 중에선 강남구 땅값 상승률이 1.3%로 가장 높았다. 대규모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되는 경기 용인시 처인구(1.26%)가 뒤를 이었다. 3위는 서울 서초구로 1.16% 상승했다. 지가는 아파트 분양가를 산정할 때 참고하는 주요 기준 중 하나다. 땅값이 크게 오르면 분양가도 덩달아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우려된다.

올해 1분기 토지 거래량은 약 43만3000필지(285.8㎢)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6%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 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15만필지(261.2㎢)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1.5% 줄었고, 전 분기보다는 8.8% 감소했다. 전 분기와 비교한 토지 거래량은 광주(26.6%), 세종(15.4%) 등 5개 시도에서 증가했다. 대구(-32.1%), 제주(-23.7%) 등 12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이희수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