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춘래불사춘’ 이사철인데 찬바람만…한숨만 쉬다 퇴근하는 공인중개사들

백지연 기자
입력 : 
2025-04-23 15:33:4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봄 이사철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공인중개소의 손님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올해 1분기에는 개업한 공인중개사가 2720명으로 전년 대비 10.3%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폐업이나 휴업한 공인중개사는 3175명에 달한다.

또한, 주택 거래량의 감소와 함께 중개 수수료 절감을 위한 직거래가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서울 송파구 한 상가의 부동산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한 상가의 부동산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봄 이사철을 맞았지만 공인중개소는 손님들의 발길이 좀처럼 이어지지 않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공인중개업계까지 불황이 닥친 탓이다.

23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개업한 공인중개사는 272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1분기 3032명 대비 10.3% 감소한 수준이다.

특히 부동산 활황기였던 지난 2021년 1분기 5017명과 비교하면 반토막 가까이 났다.

이 기간 폐업·휴업한 공인중개업소 수를 보면 침체 충격파는 더욱 확연하다. 1분기 폐업이나 휴업한 공인중개사가 3175명으로 개업 공인중개소보다 455명이 많았기 때문이다.

통상 1분기에는 봄 이사철로 부동산을 찾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되려 문을 닫은 공인중개사들이 더 많았다는 의미다.

최근 주택 거래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자연히 공인중개사무소를 찾는 이들도 사라지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주택 거래량은 64만2576건으로 지난 2022년 대비 소폭 늘었지만 호황기보다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앞서 2020년과 2021년 연간 주택 거래량은 100만건을 웃돌기도 했다.

서울 강남 3구를 중심으로 토지거래허가 해제·재지정 이후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는 점도 아파트 매매 거래가 급감한 요인으로 꼽힌다.

한편 중개 수수료를 아끼기 위해 공인중개소를 거치지 않는 직거래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당근마켓 내 부동산 직거래 완료 건수는 지난해 5만9451건의로 지난 2021년(268건) 대비 221배가 훌쩍 뛰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