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불 꺼진 아파트 계속 늘어난다...‘악성 미분양’ 주택 11년 만에 최대치

이희수 기자
입력 : 
2025-03-31 10:55:49
수정 : 
2025-03-31 11:04:4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지난달 2만 3722가구로 증가하며 11년 4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3.5% 감소한 7만 61가구를 나타냈으며, 주택 매매 거래량은 32.3% 증가했다.

하지만 인허가와 착공 및 분양 실적은 모두 하락세를 보이며 올해 1~2월 누계 분양이 전년 동기 대비 67.9% 감소한 상황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국토교통부 2월 주택 통계
토허제 반짝 해제 여파로
서울 매매 거래 47% 늘어
[사진출처=국토교통부]
[사진출처=국토교통부]

주택을 다 짓고도 팔리지 않아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지난달 또다시 증가했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3722가구로 전월(2만 2872가구) 대비 850가구(3.7%) 늘었다. 이는 11년 4개월 만에 최대치다.

특히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이 1만 9179가구로 전월(1만 8426가구) 대비 4.1%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충북이 565가구로 한 달 전에 비해 40.2%, 경남이 2459가구로 전월 대비 21% 각각 늘었다. 가구 수 기준으로는 대구(3067가구), 경북(2502가구), 전남(2401가구), 부산(2261가구) 순으로 악성 미분양이 많았다.

다만 전국의 미분양 주택 수는 전월보다 3.5% 줄어든 7만 61가구를 기록했다. 수도권 미분양이 1만 7600가구로 전월 대비 10.9% 감소한 게 영향을 미쳤다. 지방 미분양은 5만 2461가구로 0.8% 소폭 줄어드는 데 그쳤다.

[사진출처=국토교통부]
[사진출처=국토교통부]

지난달 주택 매매 거래량은 큰 폭으로 늘었다.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5만 698건으로 전월 대비 32.3% 증가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4743건)가 전월(3233건) 대비 46.7% 늘어난 게 눈길을 끈다. 지난달 12일 서울 강남권 일부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됐고 봄 이사철 수요와 금리 인하 기대감도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

전월세 거래량도 27만 8238건으로 전월 대비 38.6% 증가했다. 임차 유형별로 보면 전세 거래량이 10만 3114건, 월세 거래량이 17만 5124건으로 집계됐다. 전체 거래 가운데 월세 비중이 약 63%에 달했다.

다만 주택 공급의 ‘선행 지표’로 꼽히는 인허가·착공·분양 실적은 죄다 하향곡선을 그렸다. 2월 주택 인허가는 1만 2503가구로 전월 대비 44.3% 감소했다. 수도권 주택 인허가가 7003가구로 전월 대비 53.7% 줄었다. 2월 주택 착공도 1만 69가구로 전월 대비 1.1% 소폭 감소했다.

2월 전국 분양은 5385가구로 전월 대비 27.6% 하락했다. 올해 1~2월 누계 분양도 1만 2825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67.9%나 줄었다. 지난달 수도권에선 분양이 단 한 건도 이뤄지지 않았다. 탄핵 정국 장기화로 4월에도 서울 분양은 0건에 그칠 전망이다. 지난달 지방 분양은 5385가구로 전월 대비 40.9% 늘었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하면 61.6% 감소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