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최장 10년간 거주 가능”…LH, 전세사기피해자 경매차익 지원 본격 시행

백지연 기자
입력 : 
2025-03-17 15:46:2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전세사기 피해 주택의 경매 차익을 활용한 주거지원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별법 개정에 따라 LH는 피해자의 보증금 회복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난 몇 주 동안 피해 주택 매입 신청이 급격히 증가해 현재 9000호를 웃돈다.

LH는 피해자들에게 보다 실효성 있는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관련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겠다고 전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LH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진 출처 = 연합뉴스]
LH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전세사기 피해 주택(피해 주택) 경매 차익을 활용한 주거지원이 순항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주거 안정에 관한 특별법(특별법)’ 개정안 시행에 따라 LH는 경매 차익을 활용해 전세사기피해자의 피해보증금 회복을 지원하고 있다. 경매 차익 활용 방안은 LH가 특별법에 따라 경·공매 방식으로 피해 주택을 낙찰받은 뒤 경매 차익(LH감정가-낙찰가액)을 활용해 임대료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임대료 지원 후 남는 경매 차익이 있다면 즉시 피해 임차인에게 지급해 피해자의 보증금 손실 회복을 지원한다. 피해 임차인은 최장 10년간 임대료 부담 없이 거주할 수 있다.

최근 전세사기 피해가 극심했던 인천 미추홀구에서 전국 최초로 피해보증금 전부를 회복한 사례가 나오기도 했다. 신청 당시에는 보증금 보전 없이 주거지원만 가능했으나, 특별법 개정에 따라 경매 차익과 법원 배당금 등을 통해 피해보증금 전부를 회복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특별법 개정으로 주거지원에 보증금 회복 지원도 가능해짐에 따라 LH에 피해 주택 매입신청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개정 전 피해 주택 매입신청은 1600여 호 수준이었으나, 개정 후 7500호가 추가로 신청돼 현재 신청 호수는 9000호를 넘어섰다. LH는 주택별 경·공매 유예건 별 속행신청을 진행해 지원 속도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LH는 현재까지 피해 주택 244호를 매입했다. 지난해 매입 실적(90호)과 비교했을 때 올해 들어서만 154호를 추가 확보한 셈이다.

해당 주택에도 경매 차익 활용 주거지원을 위한 감정평가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특별법 개정으로 신청이 급격히 늘어날 것을 대비해 LH는 지난해 전세피해 지원 전담 조직 직제를 본사 독립 조직으로 상향하고, 피해가 집중된 수도권, 대전충남, 부산울산 등에는 ‘전세피해 지원팀’을 신설하기도 했다.

LH는 피해 주택 낙찰을 통한 임대주택 공급 외에도 피해 주택 인근 공공임대주택 공급도 지원하고 있다. 현재까지 매입임대주택 1145호, 전세임대주택 256호 등 총 1429호의 주거지원을 마쳤다. 전세임대의 경우 최대 2억4000만원의 전세보증금을 지원한다.

피해 주택 매입 사전협의 신청은 특별법에 따라 전세사기 피해자(또는 신탁사기피해자)로 결정된 날부터 3년 내 가능하며, 피해 주택 소재지 관할 LH 지역본부 전세피해 지원팀(주거복지사업팀)을 통해신청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LH청약플러스에 게시된 ‘전세사기 피해 주택 매입 통합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유병용 LH 주거복지본부장 직무대리는 “특별법 개정으로 전세사기 피해자분들에게 주거지원에 보증금 회복 지원까지 가능해짐에 따라보다 실효성 있는 피해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며 “피해 지원 신청이 계속해서 늘고 있는 만큼 관련 절차를 신속히 이행해 하루빨리 피해자분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