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이왕이면 넓게”…분양 침체 속 인기라는 85㎡ 초과 대형 평수

위지혜 기자
입력 : 
2024-12-24 12:23:28
수정 : 
2024-12-24 13:21:2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대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공급량은 전체 아파트의 11.38%에 불과하지만 가격 상승률이 두드러진다.

2023년 중대형 아파트 매매 비율은 10.92%로 증가했으며, 청약시장에서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12월과 1월에는 중대형 평형의 분양이 대규모로 진행될 예정이며, 여러 건설사가 신규 아파트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중대형 평형대, 수요 여전해
5년간 매매가 19.01% 올라
분양 업계도 중대형에 주목
탕정 푸르지오 센터파크 조감도 [제공=포애드원]
탕정 푸르지오 센터파크 조감도 [제공=포애드원]

중소형 아파트가 주도한 주택시장에서 중대형 아파트를 선호하는 수요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2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20~2024년) 중대형 아파트(전용 85㎡ 초과) 공급량은 전체 98만6039가구 중 11.38%인 11만2224가구에 불과했다. 중소형(전용 60~85㎡ 이하) 평형은 67만3937가구(68.35%), 소형(전용 60㎡ 이하)은 19만8279가구(20.11%)가 공급됐다.

중대형 아파트는 희소성 덕분에 가격 상승률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전국 중대형 아파트의 3.3㎡당 매매가를 보면 지난 2020년 1952만원에서 현재(12월 13일 기준) 2323만원으로 약 19.01% 상승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 매매가 평균 상승률인 9.41%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중대형 아파트에 대한 거래량도 늘어나고 있다. 중대형 아파트 매매 비율은 2022년 7.96%를 기록한 이후 2023년 10.92%로 증가했다. 올해 10월까지의 매매량은 4만5936가구로 전체 거래 건수(41만2554가구)의 11.13%를 차지했다.

분양 시장에서도 중대형 아파트의 인기가 많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10월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서 분양한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 전용 94㎡는 1순위 청약에서 51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6월 전북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 2가에 분양한 ‘에코시티 더샵 4차’ 전용 110㎡는 97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중 가장 높은 청약 경쟁률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12~1월 중에는 중대형 평형 분양이 대거 이뤄진다. 대우건설은 12월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에 ‘탕정 푸르지오 센터파크’를 분양할 예정이다. 총 1416가구로 구성되는데 이중 중대형 물량은 109㎡ 240가구, 136㎡ 5가구다.

태영건설은 1월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에서 ‘더 팰리스트 데시앙’을 분양할 예정이다. 아파트 418가구(전용면적 100~117㎡), 오피스텔 32실(전용면적 97·109㎡) 규모로 100% 중대형 면적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서울시 중랑구 상봉동에 ‘더샵 퍼스트월드 서울’을 분양 중이다. 총 999가구 가운데 대형 물량으로 98㎡ 346가구, 118㎡ 84가구가 공급된다.

신동아건설은 오는 27일 ‘검단신도시 파밀리에 엘리프’의 견본주택을 개관한다. 총 669가구 중 대형 물량으로 98㎡ 193가구, 110㎡ 8가구 등이 공급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