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방배동 20억 주택 보유자 내년 보유세 따져보니...OO만원 더 낸다

이하린 기자
입력 : 
2024-12-19 10:53:3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년 서울 서초구 방배동의 20억원 단독주택 보유세는 공시가격 상승으로 인해 39만원(5.78%)오른 714만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시가격 9억원 이하 주택의 보유세는 2~4%, 9억원 이상은 5~10% 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아파트와 빌라 등 공동주택 공시가는 내년 3월에 공개될 예정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단독주택 밀집지역.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단독주택 밀집지역.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 위치한 약 20억원의 단독주택의 보유세가 올해 675만원에서 내년 714만원으로 39만원(5.78%) 오를 것으로 보인다. 내년 서초구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3.07% 오른 데 따른 것이다.

서울 공시가격 10억원 이상의 내년 단독주택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는 올해보다 적게는 5%, 많게는 10% 수준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교통부는 내년 1월 1일 기준 표준주택과 표준지의 공시가격을 공개하고 소유자 의견을 받는다고 18일 밝혔다. 표준주택은 전국 단독주택 408만 가구 중 25만 가구, 표준지는 전국 3559만 필지 중 60만 필지가 대상이다.

내년 표준단독주택 공시가는 전국 평균 1.96% 상승해 올해(0.57%)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표준지는 2.93% 상승해 역시 올해(1.1%)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다만 표준주택·표준지 모두 상승 폭이 최근 10년 사이 두 번째로 낮다.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이 가장 크게 오른 곳은 서울(2.86%)이다. 경기(2.44%), 인천(1.7%), 광주(1.51%), 세종(1.43%)이 뒤를 이었다.

서울 안에서는 용산구의 상승률이 3.7%로 가장 높았고 이어 강남구(3.53%), 성동구(3.41%), 동작구(3.28%), 마포구(3.11%) 순이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제주(-0.49%)만 유일하게 떨어졌다. 제주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은 3년 연속 하락했다.

표준지의 경우 서울(3.92%)과 경기(2.78%), 대전(2.01%), 부산(1.84%), 인천(1.83%)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표준주택과 마찬가지로 제주(-0.26%)만 표준 공시지가가 떨어졌다.

공시가 상승 폭이 크지 않아 내년 단독주택 보유세는 한 자릿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우병탁 신한은행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위원이 보유세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공시가가 9억 원 이하인 단독주택은 내년 보유세가 올해보다 2~4%, 9억 원 이상은 5~10%가량 늘어나는 것으로 예측됐다.

서울 서초구 방배동 A 단독주택(전용 233.5㎡)의 내년 공시가(서초구 평균 상승률 적용)는 20억677만 원으로 올해(19억4700만원) 보다 3.07% 상승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보유세는 같은 기간 675만원에서 714만원으로 5.78% 오를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10년 연속 표준주택 가격 1위를 차지한 곳은 이명희 신세계 회장의 서울 용산구 한남동 자택으로, 공시가격은 올해 285 7000만원에서 내년 297억2000만원으로 4.0% 오른다.

이 단독주택은 2016년 표준단독주택으로 편입된 후 10년째 공시가격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표준주택·표준지 공시지가 열람 및 의견 청취 기간은 내년 1월 7일까지며 내년 1월 24일 확정 공시된다. 아파트·빌라 등 공동주택 공시가는 내년 3월 공개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