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그러게 작년에 집 사자고 했잖아” 엄마들 울먹…7개월만에 전국 집값 상승 전환

이하린 기자
입력 : 
2024-07-16 11:31:2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국 주택가격이 지난해 12월부터 이어지던 하락세를 멈추고 7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아파트만 놓고 보면 6월 서울과 수도권 매매가는 전월 대비 0.56%, 0.26% 각각 상승했고 지방은 0.17% 하락했다.

연립주택의 경우 서울의 상승 폭이 5월 0.03%에서 6월 0.12%로 커지고 경기 지역(-0.25%→-0.05%)의 하락 폭이 줄면서 수도권(-0.10%→0.02%) 연립주택 매매가가 상승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서울 등 수도권 중심으로 집값 상승폭↑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전국 주택가격이 지난해 12월부터 이어지던 하락세를 멈추고 7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서울 등 수도권과 지방 간 집값 격차는 더 벌어졌다.

16일 한국부동산원의 ‘6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6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0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0.10%) 이후 줄곧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하던 전국 집값은 지난달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세로 돌아섰다. 올 상반기 전국 주택 매매가격 누적 변동률은 -0.44%다.

6월 집값 변동률을 권역별로 보면 서울은 전월 대비 0.38% 오르면서 5월(0.14%)보다 상승 폭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1년 11월(0.55%) 이후 3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반기 누적 상승률은 0.39%를 기록했다.

6월 서울 집값 상승률을 구별로 보면 성동구가 0.97%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서초구(0.76%), 송파구(0.67%), 용산구(0.62%), 마포구(0.54%) 등의 순으로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과 강남 3구가 강세를 보였다.

경기 지역(-0.08%→0.07%)의 경우 과천시, 성남시 분당구 등 1기 신도시 지역 위주로 오르면서 6월 집값이 상승 전환했고, 인천(0.07%→0.14%)은 집값 상승 폭이 전달에 비해 커지면서 6월 수도권(0.02%→0.19%) 집값 상승 폭도 커졌다.

반면 지방 집값은 전월 대비 0.10% 내리면서 하락 폭이 5월(-0.06%)에 비해 더 커졌다. 올해 상반기 누적 하락률은 -0.62%다.

부동산원은 “서울 등 수도권 위주로 매수심리가 회복되고 상승 거래가 지속 발생하면서 전국 기준 집값이 상승 전환했다”면서 “특히 서울은 선호단지·저가 매물 위주로 매수 문의가 집중되고 매도 희망 가격이 상승하는 등 매도자 우위 시장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파트만 놓고 보면 6월 서울과 수도권 매매가는 전월 대비 0.56%, 0.26% 각각 상승했고 지방은 0.17% 하락했다.

연립주택의 경우 서울의 상승 폭이 5월 0.03%에서 6월 0.12%로 커지고 경기 지역(-0.25%→-0.05%)의 하락 폭이 줄면서 수도권(-0.10%→0.02%) 연립주택 매매가가 상승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시장도 서울과 지방 간 양극화 양상을 보였다.

지난 6월 전국 주택 전셋값은 전월 대비 0.11% 올랐다. 수도권(0.28%→0.31%)과 서울(0.26%→0.38%)은 상승 폭이 커진 반면 지방(-0.03%→-0.06%)은 하락 폭이 확대됐다.

특히 아파트 전셋값 상승 폭이 컸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 6월 0.62%를 기록하면서 상반기 누적 기준 2.21% 올랐다. 인천은 아파트 전셋값이 지난 6월 0.56% 오르면서 상반기 누적 전셋값 상승률이 3.01%에 달했다.

연립주택 전셋값은 지난해 11월 이후 이어진 하락세를 멈추고 지난 6월 보합(0.00%) 전환했다. 서울(0.03%→0.06%)의 상승 폭이 커졌고, 인천(-0.07%→0.04%)은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 전환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