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새 대통령, 경제 살려달라" 최우선 국정 과제로 꼽아

채종원 기자
입력 : 
2025-05-19 17:57:06
수정 : 
2025-05-19 20:32:3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6·3 대선에서 국민들은 후보의 국정 운영 능력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보고 있으며, 특히 경제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여기는 비율이 50%를 넘었다.

또한, 경제 문제 해결에 있어 이재명 민주당 후보가 47.5%의 지지를 얻으며 가장 선호되는 후보로 나타났고, 정책이나 공약은 20대와 30대에서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조사는 100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응답자들은 경제, 통합, 내란 심판 등 다양한 과제를 제시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차기 정부 과제
국민 통합 주문도 14% 나와
1순위 선택기준은 국정능력
◆ 이재명 시대 ◆
◆ 매경∙MBN 여론조사 ◆
6·3 대선에서 차기 대통령을 뽑는 기준으로 국민은 국정을 제대로 운영할 수 있는 자질을 갖췄는지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능력을 바탕으로 새로 선출되는 대통령은 침체된 경기를 회복하고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가장 주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50%를 넘었다. 19일 매일경제·MBN이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대선후보 선택 고려사항으로 응답자 중 30.7%가 '국정 운영 능력'이라고 답했다. '정책이나 공약'은 22.1%를 차지했고,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서 강조하는 '내란 심판'을 꼽은 응답자는 15.8%였다.

이어 '국민통합'(7.8%), '거대정당 견제'(7.7%), '소속 정당'(4.4%) 순이었다.

세대별로 보면 20대와 30대에서는 정책이나 공약이 국정 운영 능력을 앞섰다.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40대와 50대에서는 각각 국정 운영 능력에 이어 내란 심판이 2순위를 차지했다.

차기 대통령의 과제를 묻는 질문에 50.7%가 '경제 회복 및 활성화'를 꼽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불과 3개월 만에 0.8%로 대폭 하향 수정하는 등 경제 위기감이 커진 상황이 여론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 '이념을 초월한 국민통합'과 '내란 후유증 극복'이 각각 14.0%와 10.7%로 조사됐다. 이어 '통상 관련 외교력 강화'(7.8%), '저출생·고령화 대책 강화'(6.7%), '개헌 등 제도 개선'(4.0%) 순이었다.

이념별로 보면 첫 과제를 경제 활성화로 뽑은 비중은 진보가 57.3%로 가장 높았다. 중도가 49.3%, 보수는 45.5%로 나타났다. 경제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것 같은 대선후보로는 이재명 민주당 후보가 47.5%,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28.9%,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9.8%를 기록했다.



어떻게 조사했나

매일경제·MBN은 여론조사업체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만18세 이상 남녀 1007명(응답률 16.7%)을 대상으로 16~18일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해 100% 전화 면접조사로 진행됐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채종원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