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정부 과제
국민 통합 주문도 14% 나와
1순위 선택기준은 국정능력
국민 통합 주문도 14% 나와
1순위 선택기준은 국정능력
◆ 매경∙MBN 여론조사 ◆
6·3 대선에서 차기 대통령을 뽑는 기준으로 국민은 국정을 제대로 운영할 수 있는 자질을 갖췄는지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능력을 바탕으로 새로 선출되는 대통령은 침체된 경기를 회복하고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가장 주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50%를 넘었다. 19일 매일경제·MBN이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대선후보 선택 고려사항으로 응답자 중 30.7%가 '국정 운영 능력'이라고 답했다. '정책이나 공약'은 22.1%를 차지했고,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서 강조하는 '내란 심판'을 꼽은 응답자는 15.8%였다.
이어 '국민통합'(7.8%), '거대정당 견제'(7.7%), '소속 정당'(4.4%) 순이었다.
세대별로 보면 20대와 30대에서는 정책이나 공약이 국정 운영 능력을 앞섰다.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40대와 50대에서는 각각 국정 운영 능력에 이어 내란 심판이 2순위를 차지했다.
차기 대통령의 과제를 묻는 질문에 50.7%가 '경제 회복 및 활성화'를 꼽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불과 3개월 만에 0.8%로 대폭 하향 수정하는 등 경제 위기감이 커진 상황이 여론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 '이념을 초월한 국민통합'과 '내란 후유증 극복'이 각각 14.0%와 10.7%로 조사됐다. 이어 '통상 관련 외교력 강화'(7.8%), '저출생·고령화 대책 강화'(6.7%), '개헌 등 제도 개선'(4.0%) 순이었다.
이념별로 보면 첫 과제를 경제 활성화로 뽑은 비중은 진보가 57.3%로 가장 높았다. 중도가 49.3%, 보수는 45.5%로 나타났다. 경제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것 같은 대선후보로는 이재명 민주당 후보가 47.5%,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28.9%,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9.8%를 기록했다.
어떻게 조사했나
매일경제·MBN은 여론조사업체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만18세 이상 남녀 1007명(응답률 16.7%)을 대상으로 16~18일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해 100% 전화 면접조사로 진행됐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채종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