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전국 대부분 지역서 앞서는 이재명…김문수 대구·경북만 우세[NBS]

이상규 기자
입력 : 
2025-05-15 19:21:01
수정 : 
2025-05-16 08:57:0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6·3 조기대선이 19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상당수 지역에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은 49%, 김문수 후보는 27%로, 김 후보는 대구·경북에서만 이 후보를 초과한 가운데, 이재명 후보는 나머지 모든 지역에서 40% 이상의 지지를 얻었다.

특히 이재명 후보는 호남에서 78%의 압도적인 지지를 기록했으나, 대구·경북 지역에서의 상승세도 눈에 띄어 정치적 주목을 받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 2025 대선 레이스 ◆
◆ 2025 대선 여론조사 ◆
이재명 49%·김문수 27%·이준석 7%
부울경 이재명 40%·김문수 34% 오차내 경쟁
6·3 조기대선이 19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앞선다는 내용의 여론조사 결과가 15일 나왔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6·3 조기대선이 19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앞선다는 내용의 여론조사 결과가 15일 나왔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6·3 조기대선이 19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앞선다는 내용의 여론조사 결과가 15일 나왔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2일부터 전날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 이재명 후보 지지도 49%, 김문수 후보 27%, 이준석 후보 7% 였다.

김 후보는 유일하게 대구·경북(TK)에서 이 후보를 앞섰다.

대신 TK에서 이 후보 지지도는 지난 20대 대선 때 득표율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부산·경남(PK) 지역의 경우 이재명 후보가 오차범위 내에서 김문수 후보보다 높은 지지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10대∼20대 연령층에서 이재명 후보에겐 뒤지지만 김문수 후보를 앞서는 지지율을 보였다.

각 후보의 지역별 지지율을 살펴보면, 이재명 후보가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40% 이상을 기록했다. 서울 47%, 인천·경기 55%, 대전·세종·충청 43%, 강원·제주 40% 등 이었다.

민주당의 텃밭 격인 호남(광주·전라)은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이 78%로 다른 후보를 크게 따돌리고 1위를 기록했다. 호남에서 김문수 후보 지지도는 4%에 그쳤다. 이준석 후보 지지도는 6%로 오차 범위 내에서 김문수 후보에 앞서기도 했다.

국민의힘의 텃밭 격인 대구·경북에서 김문수 후보가 지지도 54%로, 이재명 후보(29%)를 앞섰다.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김문수 후보가 앞서는 지역이기도 하다.

그러나 지난 20대 대선 득표율과 비교하면 이 지역에서 이재명 후보가 선전을 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재명 후보의 20대 대선 대구 득표율은 21.6%, 경북 득표율은 23.8% 등 20% 초반이었는데, 이번 여론조사의 대구·경북 지지도는 29%를 기록했다.

역시 국민의힘 우세 지역으로 분류되는 부산·울산·경남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40%의 지지율을 기록, 김문수 후보(34%)를 오차범위 내 접전이었다.

이날 나온 이재명 후보의 서울 지역 지지도는 47%로 김문수 후보(29%)를 18%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인천·경기에서도 이재명 후보 지지도가 55%, 김문수 후보는 21%였다.

대전·세종·충청에서 이재명 후보 지지도는 43%를 기록했다. 이와 달리 김문수 후보에 대한 대전·세종·충청 지지도는 29%로, 지난 대선 윤석열 후보의 득표율보다 확연히 떨어진다.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 득표율은 대전 49.5%, 세종 44.1%, 충북 50.6%, 충남 51.0%였다.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응답률은 27.6%였다. 함께 인용된 선관위 조사는 전화면접(CATI)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은 무선전화 가상번호 90.0%·유선전화 RDD 10.0%, 응답률은 17.0%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