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국정원 "러 파병 북한군 4700명 사상"

김성훈 기자
박자경 기자
입력 : 
2025-04-30 17:49:13
수정 : 
2025-04-30 20:27:2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가정보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사상자가 4700여 명에 달하며, 이 중 전사자는 600명이 넘는다고 30일 발표했다.

북한은 러시아의 쿠르스크 지역 탈환을 돕기 위해 약 1만5000여 명의 병력을 파병하였으며, 파병 장기화로 내부 일탈 행위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북한은 무기 수출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군사기술과 장비 지원을 받고 있으며, 중국인들이 한국 내 군부대를 무단 촬영한 사건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국정원이 보고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쿠르스크서 600여 명 전사
중국인 유학생·관광객 등
軍 무단촬영 1년 새 11건
러, 북한군 실전 영상 공개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29일(현지시간) 북한군이 러시아군과 합동으로 쿠르스크주 수잔스키 지구 해방 작전에 참여했다며 영상을 공개했다. 북한 군인들이 러시아 군인에게서 작전 설명을 듣고 있다.  엑스(X)
러, 북한군 실전 영상 공개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29일(현지시간) 북한군이 러시아군과 합동으로 쿠르스크주 수잔스키 지구 해방 작전에 참여했다며 영상을 공개했다. 북한 군인들이 러시아 군인에게서 작전 설명을 듣고 있다. 엑스(X)


국가정보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가운데 4700여 명의 사상자가 나온 것으로 30일 추산했다. 이 가운데 전사자만 600여 명에 달한다.

이날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은 국정원이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가 지난달 말 공개한 약 4000명에서 숫자가 더 늘어난 셈이다.

국정원은 북한이 두 차례에 걸쳐 병력 1만5000여 명을 보내 러시아의 쿠르스크 지역 탈환을 도왔다고 분석했다. 또 파병이 장기화하면서 내부적으로 과음·절도 등 일탈 행위가 확인됐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현재 3차 파병 동향은 없지만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국정원은 또 북한이 부상병 2000여 명을 지난 1~3월 항공기와 열차 편으로 송환해 평양 등지에서 격리 수용 중인 것으로 확인했다고 보고했다. 북측은 상당수 전사자 시신을 쿠르스크 현지에서 화장한 뒤 유가족에게 전달한 것으로도 파악됐다.

북한이 파병과 무기 수출 대가로 현금 대신 군사기술 및 장비를 러시아에서 지원받고 있는 정황도 포착됐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측은 △정찰위성 발사대 및 기술 자문 △무인기 △전자전 장비 △SA-22 지대공미사일 등을 러시아에서 제공받았다. 북측이 러시아에 노동자 약 1만5000명을 파견 중인 정황도 잡혔다.

한편 국정원은 중국인들이 국내 군부대 등을 무단 촬영한 사건이 작년 6월부터 최근까지 11건 발생했다고 밝혔다. 주요 촬영 대상은 군사기지와 공항, 항만과 국정원, 핵심 무기체계 등이었다. 국정원은 "촬영자 신분은 관광객 등 일시 방한객과 유학생이 대부분이고, 그중 일부 고등학생 등 미성년자도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촬영 목적이 '여행 기록용'이라고 주장하지만, 군사기지법 적용 경계선 밖에서 고성능 카메라나 무전기 등을 사용해 활동하는 등 국내법을 회피하려는 의도가 다분하다고 분석된다"고 밝혔다.

[김성훈 기자 / 박자경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