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대선 인사이드] "한푼이 아쉽다" 막 오른 대선 '쩐의 전쟁'

홍혜진 기자
입력 : 
2025-04-20 17:48:13
수정 : 
2025-04-20 20:19:3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당별 대선 후보 경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후보자들 간의 막대한 자금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선에 후보를 낸 정당들에게 약 520억원의 선거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며, 후보자들은 선거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후원금과 펀드 모집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그러나 득표율에 따른 보전제도가 기존 양당체제를 고착화시키는 문제를 지적하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거대양당 후보 1000억 훌쩍
후원금·펀드·당비 등 총동원
선관위, 내달 보조금 520억
'부익부 빈익빈' 비판도 지속
◆ 이재명 시대 ◆
사진설명


정당별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이 본격화하면서 대선 주자 간 '쩐(錢)의 전쟁'도 막이 올랐다. 후보 광고, 유세 차량, 선거사무소 운영 등에 드는 돈이 1000억원이 넘기 때문이다. 돈 없이는 출전조차 불가능한 구조다.

2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선관위는 다음달 13일께 21대 대선에 후보를 낸 정당들에 선거 보조금 약 520억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대선 후보자 등록 마감일인 5월 11일 이틀 뒤다. 선거 보조금은 각 당 대선 후보 선거 비용으로 쓰라고 주는 돈이다. 이는 국회 의석수와 정당 득표율을 기준으로 각 정당에 차등 배분된다. 지난 20대 대선 때는 5개 정당에 465억원이 지급됐다. 더불어민주당은 225억원, 국민의힘은 194억원을 각각 받았다.

각 후보는 선거 보조금 외에도 당비와 지지자들의 후원금 등을 총동원해 대선 자금을 마련한다. 다만 대선 자금을 무제한으로 모집해 쓸 수 있는 건 아니다. 선관위는 매 대선 전에 선거 비용 제한액을 정하는데, 올해는 약 588억원이다.

지지자들이 십시일반하는 후원금은 선거 비용 제한액의 5%까지 모을 수 있다. 올해는 약 29억원이 최대다. 개인만 후원할 수 있고 법인 명의로는 불가능하다. 유력 후보인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는 지난 16일 하루 만에 후원금 모집액 한도를 채웠다고 밝혔다.

최근 트렌드는 대국민 '펀드' 모집이다. 지지자들에게 돈을 빌리고 선거가 끝난 뒤 이자를 더해 갚는 개념이다. 20대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와 국민의힘은 펀드로 270억원을, 이재명 후보와 민주당은 350억원을 모집했다. 이자율은 연 2.8%였다. 각 당은 올해도 펀드로 선거자금 상당 부분을 모을 전망이다. 이 전 대표 측은 "대선 본선에 돌입하면 연 2~3% 금리로 펀드를 모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선이 끝나면 각 정당은 빈 통장 잔액과 영수증을 받아 들게 된다. 그러나 후보자가 15% 이상을 득표하면 걱정 없다. 선거비용 상한선 범위에서 정당이 지출한 비용을 국가가 세금으로 전액 돌려주기 때문이다. 득표율이 10% 이상~15% 미만이면 절반을 보전해준다. 10% 미만을 득표하면 보전액은 한 푼도 없다.

이에 '이중 보전'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거대 양당은 대선마다 수백억 원을 쓰지만 대부분을 돌려받아 선거를 치르고도 오히려 돈이 남아 흑자를 보는 구조"라고 말했다. 선관위는 이 같은 이중 지원을 방지하기 위한 법 개정을 제안했지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득표율에 따른 보전제도가 양당제를 고착화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정치권 소식통은 "거대 양당이야 15% 넘게 득표해 선거 비용을 보전받는 게 사실상 확실하니 돈 걱정이 없지만, 군소 정당은 선거에 지면 한 푼도 돌려받지 못하고 알거지가 되기 십상"이라고 말했다.

과거 대선 캠프에 참여했던 또 다른 소식통은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 유세 차량 한 대를 빌리는 데 2500만원 정도 든다"고 말했다.

[홍혜진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