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공약현미경] 李가 쏘아 올린 선택적 모병제 이대남 잡을까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6·3 대선을 앞두고 병역제도가 '이대남'의 주요 이슈로 떠올랐으며, 이재명 전 대표가 '선택적 모병제' 카드를 꺼내들었다.

국민의힘은 이 전 대표의 제안을 비판하며 병역 자원 감소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으며, 부사관과 관련한 인력난도 부각하고 있다.

민주당은 기존 공약에 대한 반박을 하며, '선택적 모병제'의 구체화를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기술전문 부사관 확대
병역자원 감소책 제시
軍 부사관 인력난 심각
국힘 "李포퓰리즘" 비판
◆ 공약 현미경 ◆
사진설명
6·3 대선을 앞두고 병역제도가 '이대남'(20대 남성) 표심을 가를 화두로 떠올랐다.

공은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먼저 쐈다. 이 전 대표는 20대 대선에 이어 지난 17일 '선택적 모병제' 카드를 다시 꺼냈다. 그는 "수십만 청년들을 병영에 가둬놓고 단순 반복 훈련으로 시간을 보내게 하는 게 효율적일까 싶다"고 말했다. 그러자 국민의힘이 역공에 나섰다. 윤희숙 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장은 18일 "안보를 팔아먹는 이재명식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했다. 이 전 대표는 구체적인 선택적 모병제 추진 방안은 내놓지 않았다. 병력 모집 대책 등도 미지수다.

일단 이 전 대표의 선택적 모병제 구상은 명칭과 달리 징병제에 기반하고 있다. 이는 병역 대상자가 '징집병'과 '기술집약형 전투부사관 모병'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입대하는 개념이다. 핵심 무기체계 운용 등 전문적 분야에는 징집병 대신 기술집약형 전투부사관과 군무원을 늘려 투입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군 안팎에서는 부사관 수를 늘려 병역자원 감소에 대응하겠다는 구상에 의구심이 적지 않다. 육군 부사관은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충원율이 85.1%에 그쳤다. 병사 충원율은 95.3%에 이른다. 군 소식통은 "이 전 대표는 장병들이 받는 훈련을 '단순 반복'이라고 했지만, 전쟁터에서 승패를 결정하는 것은 무기 체계나 기술이 아닌 군인"이라고 했다.

윤 원장도 부사관 인력난을 부각시켰다. 이 전 대표가 지난 대선에서 언급했던 '병 복무기간 10개월로 단축'까지 소환하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윤 원장은 "2021년 1분기에 비해 올해 1분기 부사관 희망전역은 315명에서 668명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며 "신규 임용은 2156명에서 749명으로 3분의 1토막이 났다"고 설명했다. 윤 원장은 "이 와중에 (이 전 대표가) 병 복무기간을 18개월에서 10개월로, 단기부사관은 48개월에서 36개월로 줄인다고 한다"면서 "지금도 단기부사관을 겨우 채우는 상황을 모른 척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군 출신인 부승찬 민주당 의원은 "윤 원장이 언급한 복무기간 단축은 지난 대선 당시 공약에 불과하다"면서 "민주당은 현재 '선택적 모병제' 구체화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반박했다.

[김성훈 기자 / 김명환 기자 / 구정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