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일단 1억 내야 토론 기회" 대선 경선부터 錢의 전쟁

성승훈 기자
박자경 기자
입력 : 
2025-04-10 17:58:20
수정 : 
2025-04-10 19:54:2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1대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힘은 기탁금을 최대 3억원으로 설정하고, 후보자들은 경선을 통과할 때마다 1억원씩 납부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는 기탁금 조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지만 현재로서는 규정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선관위원장 박범계 의원은 경선 규칙 정립을 위해 회의를 주말에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국힘 기탁금 상한 3억으로
민주당, 예비경선 참가 1억
본경선은 3억 유지 가능성
21대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들이 수억 원의 기탁금을 준비하고 있다. 그동안 각 당은 선거를 앞두고 기탁금 명목으로 경선 여론조사 비용 등을 후보들로부터 갹출해 사용해왔다.

10일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황우여)는 기탁금 상한을 최대 3억원으로 책정했다. 호준석 국민의힘 선관위 대변인은 전날 "기탁금은 지금까지 1, 2, 3차 경선을 하면 1억원씩 내서 최대 상한이 3억원이었다"며 "이번에도 3억원 상한 이내에서 조정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 후보자들은 경선을 통과할 때마다 1억원씩 내야 한다. 예비후보자가 1차 경선에서 탈락한다면 단 한 번의 TV 토론회 참여에 1억원이 드는 셈이다. 이러한 상황에도 출사표를 던질 것으로 예측되는 국민의힘 후보는 10여 명이다.

19대 대선에서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은 기탁금을 3억원으로 내걸었다가 후보들이 반발해 2억원으로 내린 바 있다. 당시에는 유력한 대선 후보가 없는 상태로 사상 처음 컷오프 제도를 도입해 조기 대선을 치렀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선출된 20대 대선에서 국민의힘은 기탁금 상한을 다시 3억원으로 올렸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대선 기탁금을 세부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다만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에는 기탁금 조정 안건이 공식적으로 상정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에 따라 예비경선 1억원·본경선 3억원이라는 현행 규정이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선관위원장을 맡은 박범계 의원은 매일경제와 통화에서 "전날 선관위원장으로 지명되고 나서 보고받았는데 대선 기탁금 얘기는 없었다"며 "특별당규 준비위원회에서 경선 규칙을 정해야 업무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주말에야 첫 회의를 열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성승훈 기자 / 박자경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