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계 잠룡들 수면 아래로
항소심 무죄 이후 광폭 행보
야권 新3김 후보교체론 실종
항소심 무죄 이후 광폭 행보
야권 新3김 후보교체론 실종

2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표는 지난달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에서 전부 무죄를 선고받은 직후 광폭 행보를 재개했다.
'발등의 불'이었던 사법 리스크를 털어내면서 대권 가도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특히 이 대표는 항소심 선고 직후 산불 피해 지역으로 달려가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이재민을 위로하는 등 약 닷새 동안 영남권에 머물다시피 했다. 헌재 판단이 늦어진 상황에서 이 대표에 대한 주목도가 다른 주자들보다 확연하게 올라간 셈인데, 결과적으로 이 대표의 독주 체제 구축에 도움이 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그동안 이 대표의 발목을 가장 세게 잡고 있었던 것이 사실 사법 리스크 아니겠냐"며 "그 리스크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으니, 이 대표는 윤 대통령에 대한 헌재 판단 외에는 고민할 것이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이재명 때리기'로 존재감을 키우던 '신 3김'의 행보는 주목받지 못하면서 가라앉은 분위기다. 그동안 이 대표의 항소심 유죄를 전제로 띄웠던 '후보 교체론' 당위성도 힘을 잃었다.
민주당이 광화문에 천막당사를 펴기 전부터 헌재에 윤 대통령 파면 선고를 촉구하며 단식을 벌였던 김 전 지사는 최근 건강을 회복하고 경남 산불 현장을 찾았지만 눈길을 끌지 못하고 있다. 김 지사도 비슷한 상황이다. 궁여지책으로 매일 유동 인구가 많은 역 주변 등에서 헌재의 판단을 촉구하며 1인 시위에 나섰지만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김 전 총리는 이 대표의 '검찰과 내통' 발언을 두고 적극적으로 해명을 촉구하며 대립각을 세웠지만 최근 행보에 힘이 실리지 않고 있다.
한편 야권에서는 조기 대선이 성사되면 경선을 하더라도 사실상 이 대표를 추대하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선거 기간이 짧은 상황에서 의미가 미미한 경선으로 시간을 낭비하는 것보다 확실하게 이기는 방법을 찾자는 의견도 있다"고 귀띔했다.
[전형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