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탄핵 각하 또는 기각해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둔 3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경찰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3/31/news-p.v1.20250331.ac0193bc6c414f63bff4c5397d89ad9d_P1.jpg)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여당 의원들은 31일 헌법재판소를 향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을 신속히 지정하라며 기각·각하 결정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발표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오전 나 의원과 한국 NGO 연합이 공동 주최한 ‘헌재의 탄핵 신속 각하·기각 촉구’ 긴급 토론회에서 결의안을 발표, “산불 재난 등 국가적 위기 앞에서 국론 분열과 정국 혼란만 부추기는 작금의 사태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선고일자를 즉시 지정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더불어민주당의) 논란 많은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 임명 강행 시도로 정국 불안과 갈등이 기한 없이 증폭되고 있다”며 “민주당의 ‘내각 총탄핵’ 협박은 사실상 국가 전복을 현실화하는 것이고, 헌법재판관 ‘임명 간주 입법’ 시도는 헌법상 헌재 구성권을 무력화하는 명백한 위헌 입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소추 사유에서 내란죄를 빼면서) ‘소추 사유 동일성 부재’라는 탄핵소추의 근본적 흠결로 탄핵 심판 청구는 각하해야 하고, 본안 판단을 하더라도 명백한 증거 부족과 민주당의 의회 독재적 행태를 고려할 때 탄핵 사유의 중대성이 결여되므로 기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당의 중진인 나 의원은 “(헌재가) 심리 동안에는 초시계까지 가져다 놓고 대통령, 피소추인의 방어권을 침탈하더니, 지금 선고를 앞두고는 헌재의 시계가 멈췄다”고 비판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둔 3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이 경계근무 서는 경찰과 여야 1인 시위 및 기자회견 관계자들로 뒤섞여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3/31/news-p.v1.20250331.4a5dafe9f2754e23bbaa34d5908e3244_P1.jpg)
그러면서 “이재명 대표의 ‘탄핵중독·내란 선동’에 이어 헌재의 ‘무한 연장전’까지 더해지면서 국가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며 “산불 재난 극복, 관세·통상 전쟁, 안보 위협 대응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시기에 국가 시스템이 마비되는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기현 의원 역시 “대통령 직무가 정지돼있는데 헌재가 심리를 마치고도 선고를 미루는 것은 사실상 헌법적 절차를 통하지 않고 탄핵을 하는 것”이라며 “(인용 판단 의견으로) 6명을 맞추기 위해서 자의적으로 시간을 끄는 건 명확한 반역 행위이자 반국가·내란행위”라고 비난했다.
또 추경호 의원은 “이번 주 마지막 총력을 쏟아야 한다”며 “(전국 곳곳에) ‘헌재는 탄핵을 기각하라’는 문구의 현수막을 걸자”고 제안했다.
윤 대통령 탄핵 반대를 촉구해온 역사 강사 전한길씨는 “(야권은) 비상계엄이 ‘내란’이라고 했지만, 국민은 ‘계몽령’이라는 것을 알아버렸다”며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실질적으로 60% 이상이다. 감히 어떻게 (파면을) 하겠나”라고 주장했다.
이희범 한국NGO연합 대표는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가 대립하는 상황을 “체제 전쟁”이라고 규정하며 “침묵하고 있는 대통령께서 이 체제 전쟁에 나서야 한다. 오늘 이 시간 이후 발언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