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단독] 美 “알래스카산 가스 한국이 사달라”…트럼프 압박 대응 카드로 급부상

홍혜진 기자
입력 : 
2025-02-20 18:14:28
수정 : 
2025-02-20 22:01:2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이 알래스카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와 가스관 건설 사업에 한국의 참여를 적극 제안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제안을 통해 한국과 일본, 대만 등 우방국과의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고자 하며, 한국 의원들은 이와 관련해 논의하기 위해 워싱턴을 방문했다.

그러나 가스전 개발에 필요한 막대한 비용 때문에 경제성을 검토해야 한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친트럼프’ 설리번 상원의원
가스관 건설 참여도 요청
통상압박 완화 카드 가능성

방미 국회의원들에게 미국 측이 알래스카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확대하고 관련 가스관 건설 사업에도 참여할 것을 적극 제안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미국이 한국에 알래스카 가스전 개발 참여를 공개 타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과 대만이 이미 사업 참여를 검토하고 있어 한국이 합류할 경우 4개국 간 에너지 협력이 구체화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정부의 통상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조선업 협력과 함께 에너지 협력이 일종의 ‘지렛대’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댄 설리번 알래스카주 상원의원
댄 설리번 알래스카주 상원의원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조경태 국민의힘, 정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지난 10~16일 워싱턴과 뉴욕 등을 방문했다. 이때 공화당 소속 댄 설리번 알래스카주 상원의원이 방미 의원단과 만나 “한국이 중동에서 가스를 사는 대신 알래스카에서 더 수입하면 좋겠다”고 요청했다. 알래스카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약 1300㎞ 구간 가스관 설치 사업에도 한국이 참여해줄 것을 제안했다. 설리번 의원은 프레젠테이션 자료까지 보여주며 사업계획을 적극적으로 설명했다. 설리번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측근으로 알려져 있다.

알래스카에는 원유와 가스가 풍부하다. 석유는 개발이 많이 진행됐지만 가스의 경우 잠재 물량이 많다. 트럼프 행정부는 알래스카 가스전 개발을 국정과제 수준으로 적극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에너지 수출을 늘리고 대내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해 지역 경기를 부양한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일본이나 한국, 대만 등 주요 우방국 에너지 수요처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차별 관세 부과에 맞서 대표적 대미 무역흑자국인 한국과 일본의 경우 미국산 LNG 수입을 늘려 관세폭탄을 피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한·미·일·대만 4개국이 일종의 ‘에너지 동맹’을 형성하는 기회라는 평가도 있다. 반면 가스전 개발에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경제성을 면밀히 따져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