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李 "우리는 중도보수"… 與 "보수 사칭"

전형민 기자
성승훈 기자
입력 : 
2025-02-19 17:39:15
수정 : 
2025-02-19 22:56:3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의 정체성을 '중도 보수'로 규정하면서 정치권에 논란이 일고 있다.

그는 자신의 발언이 중도층을 포섭하는 전략이라고 설명하며, 국민의힘을 비난하는 한편 민주당의 사고방식에 대한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이 대표는 근로소득세 개편과 관련한 의견을 제시하며 정책 방향에도 변화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중도층 겨냥한 발언 쏟아내
잇단 우클릭에 당내선 반발
김부겸 "혼자 정체성 규정"
근로소득세 개편도 꺼내들어
"월급쟁이 세금 사실상 늘어"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5당이 19일 국회에서 '내란 종식 민주헌정 수호 새로운 대한민국 원탁회의' 출범식을 진행하고 있다. 왼쪽부터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재연 진보당 대표, 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  김호영 기자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5당이 19일 국회에서 '내란 종식 민주헌정 수호 새로운 대한민국 원탁회의' 출범식을 진행하고 있다. 왼쪽부터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재연 진보당 대표, 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 김호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의 정체성을 돌연 '중도 보수'로 규정해 정치권에 소동이 일고 있다. 그는 지난 18일 한 유튜브 방송에서 "우리는 진보가 아니다"며 "앞으로 민주당은 중도 보수로, 오른쪽을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12·3 비상계엄과 그로 인한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국민의힘을 극우로 몰면서 중도층을 포섭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19일에도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은 원래 성장을 중시하는 중도 보수 정당"이라며 전날 발언을 재확인했다. 그는 앞서 "우리는 진보가 아니라 사실 중도 보수 정도의 포지션(위치)을 실제로 갖고 있다"면서 "진보 진영은 새롭게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을 향해서는 "헌정 질서 파괴에 동조하고 상식이 없다"며 "집권당이 돼서, 정책은 내지 않고 야당 발목 잡는 게 일이다. 보수 집단이 아니다"고 혹평했다.

그러면서도 여당이 자신의 행보를 '우클릭'이라고 지적하는 데 대해 "프레임"이라고 반발했다. 이 대표는 "민주당이 언제 경제를 경시했느냐"며 "자기들(국민의힘)이 스스로를 성장하자는 보수 우파, 우리(민주당)를 성장을 도외시하는 분배 세력으로 몬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이 대표 발언에 '보수 사칭'이라고 비난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검사 사칭에 이은 보수 사칭"이라며 "지지율을 위해 정체성마저 내던졌다"고 비판했다. 특히 "실용주의를 내세워 우클릭 갈지자 행보를 하던 이 대표가 자신의 정체성까지 부인하기에 이르렀다"며 "당이 추구해온 지향점까지 스스로 부인하며 보수를 참칭하는 모습에서 다급함을 넘어 애처로움마저 느껴진다"고 했다.

이 대표의 '중도 보수' 발언을 놓고 민주당 내부에서도 반발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우리 민주당의 정체성을 혼자 규정하는 것은 월권적"이라고 직격했다. 이어 "엄중한 시기에 왜 진보·보수 논쟁을 끌어들이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박광온 전 의원도 "민주당이 중도 보수의 길로 가야 한다는 것은 내 집을 버리고 남의 집으로 가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박 전 의원은 이 대표의 성장론에 대해서도 "성장해야 나눌 수 있다는 선성장 후분배 메시지는 공정을 능력주의로 포장한 것"이라며 "선거 전략으로 유용하다고 판단할 수는 있지만, 전략보다 중요한 것은 이를 바라보는 국민의 마음"이라고 짚었다.

비이재명(비명)계 연대 플랫폼 '희망과 연대' 이사장인 양기대 전 의원은 "민주당과 이 대표는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총선에서 '진보 개혁'을 외치며 표를 얻었는데 이제 와서 갑자기 정체성을 중도 보수 정당으로 규정하는 모습을 보니 어떤 정치 철학을 가지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꼬집었다.

한편 이 대표는 상속세에 이어 근로소득세 개편도 화두로 꺼냈다. 직장인 대부분이 납세하는 근로소득세는 선거 국면에서 표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제로 꼽힌다.

그는 페이스북에 지난해 근로소득세(61조원)가 법인세(62조5000억원) 수준과 맞먹었다는 내용을 게시하고 "물가 상승으로 명목임금만 오르고 실질임금은 안 올라도 누진제에 따라 세금이 계속 늘어난다"고 했다. 이어 "초(超)부자들은 감세해주면서 월급쟁이는 사실상 증세해온 건데 고칠 문제가 아닌가 싶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내에서는 △물가연동제 도입 △과표구간·세율 조정 등을 통해 소득세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소득세 개편은 민주당 정책위원회·월급방위대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의원들을 중심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한편 이날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등 야5당이 참여하는 '내란 종식 민주헌정 수호 새로운 대한민국 원탁회의'가 출범했다.

[전형민 기자 / 성승훈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