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초고령 한국 강조한 민주 "정년연장 논의할 때 됐다"

홍혜진 기자
전형민 기자
입력 : 
2025-02-06 17:32:40
수정 : 
2025-02-06 19:36:5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이 근로자 정년을 현행 60세에서 늦추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고령화와 정년퇴임 간 소득 격차 해소의 필요성을 반영한 것이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정년 연장 논의가 시작되어야 하며, 근로자의 고용 형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반도체업계 지원책과 국민연금 개혁 등의 이슈에 대해서도 국회에서 논의할 계획임을 밝혔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친기업 성장목표 제시 이어
중도층 표심잡을 정책 내놔
52시간 예외 합의 어렵다면
다른 반도체지원책 우선처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게오르크 슈미트 주한 독일대사를 접견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게오르크 슈미트 주한 독일대사를 접견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근로자 정년을 현행 60세에서 늦추는 방안을 추진한다. 연금 수령 연령과 정년 사이 소득 절벽, 고령화 추세를 감안하면 연장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이미 있는 만큼 앞으로는 정년 연장 근로자의 고용 형태를 놓고 집중적인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6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간담회에서 "현행 정년을 고수하면 정년퇴임과 연금 수령 시기 사이 5년여간 공백을 메우기 어렵다"며 "정년 연장 논의를 시작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급속한 고령화와 저출생으로 법정 정년 연장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며 "정부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논의했지만, 내란 사태로 한국노총이 경사노위에서 철수하면서 논의가 중단된 상태이고 국회에서 본격적으로 논의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년 연장 근로자의 고용 형태를 놓고 기업에선 신규 고용, 노동계에선 계속 고용을 주장한다"면서 "두 근로 형태에 인건비 차이가 있어서 인건비 부담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야 한다"고 부연했다.

반도체특별법의 주 52시간 근무 예외 조항은 당장 합의가 어렵다며 이 부분을 뺀 나머지 반도체업계 지원책만 우선 처리하자는 입장을 밝혔다. 진 정책위의장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선 "여야 합의가 거의 이뤄진 모수 개혁은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인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처리하고, 구조 개혁은 연금특위를 구성해서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신규 원전 건설과 관련해선 "신규 원전 확대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안전성과 주민 동의를 전제로 원전 수명 연장은 탄력적으로 수용 가능하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경제 성장을 고리로 중도층 공략 전략도 이어갔다. 당 대선 준비 조직인 집권플랜본부는 이날 신년 세미나에서 '5년 내 3%대 성장' 목표를 제시하고 재차 친기업 성장론을 강조했다.

[홍혜진 기자 / 전형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